사회 사회일반

3년간 산재 사망, 경기서 가장 많아…근로자수 대비로는 강원 최다

노동부, 최근 3년간 지역별 산재 현황 발표





최근 3년 동안 산업재해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경기도, 사망 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산재 사고 사망자 수)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지역별 산업재해 현황’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전국적으로 산업재해 사망자는 연평균 857명 발생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가 22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국내 근로자 4분의 1이 경기에 분포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 산재 사망자수는 경기에 이어 경남 74명, 서울·경북 72명, 충남 59명, 부산 54명 등 순이었다.

관련기사



사망 만인율은 강원이 0.84로 가장 높았고 서울이 0.16으로 가장 낮았다. 전국 평균 사망 만인율은 0.45였다. 강원의 사망 만인율이 높은 것은 벌목업과 광업 등 고위험 업종 종사자 비율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 사고 위험도를 분석했을 때는 건설업과 퀵서비스업이 전국에서 고위험 업종으로 분류됐다. 이외에도 지역별 산업구조를 반영한 듯 서울에서는 서비스업, 부산·울산·전남·경남은 조선업, 강원·충북·경북은 벌목업, 충남은 시멘트제품 제조업이 고위험 업종으로 나타났다.

노동부와 행정안전부, 17개 시도는 이날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2023년 지자체 산재예방 협의회’를 열고 지역 맞춤형 산재 예방 활동을 추진하기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노동부는 지자체에 지난해 11월 발표한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의 핵심인 위험성 평가를 중심으로 하는 자기 규율(자율) 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지원과 안전 문화 확산 활동을 강조했다. 하지만 지자체는 인력과 예산에 대한 정부 지원을 늘리고 지역별 산업재해 현황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줄 것을 노동부에 요청했다.

소규모 건설 현장 안전지킴이 활동, 안전관리 우수기업 인증사업, 안전 시설물 설치비용 지원사업 등 지자체에서 시행 중인 산재 예방 활동이 공유되기도 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