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젤렌스키 우크라 대통령 "시진핑 中 주석과 만날 계획"

"만남은 양국과 세계 안보에 유익할 것"

구체적 시기나 장소는 언급하지 않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키이우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꼭 1년이 되는 날이다. AP연합뉴스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키이우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꼭 1년이 되는 날이다. AP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날 계획이라고 24일(현지시간) 말했다. 이날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꼭 1년이 되는 날이다.



로이터, AFP 통신 등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키이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구체적 시기나 장소를 언급하지 않은 채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만남은 양국과 세계 안보에 유익할 것"이라고 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시 주석과 만나겠다고 나선 것은 러시아의 최대 우군이 될 수 있는 중국을 설득할 수 있다면 러시아를 외교적 고립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는 포석으로 분석된다. 이번 발언은 21~22일 왕이 위원의 방러를 전후해 오는 4~5월 시 주석이 러시아를 방문할 예정이라는 보도가 잇따르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를 찾은 중국 외교 사령탑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에게 "시 주석의 방문을 기다린다"고 하는 등 중국과 관계 강화에 공을 들이자 젤렌스키 대통령이 견제구를 날린 모양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2월 개전 직전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통해 '무제한 협력'을 약속한 데 이어 전황이 뜻대로 돌아가지 않으면서 중국과의 협력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2월 30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화상 회담을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2월 30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화상 회담을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중국이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해 발표한 입장문을 두고도 따져볼 부분이 있다면서도 긍정적 의미를 우선 평가했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우크라이나 위기의 정치적 해결에 관한 중국 입장'이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통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대화를 재개하고 휴전을 모색할 것을 촉구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에 대해 "평화계획이라고 생각하지는 않고 중국이 자신들의 생각을 표현했다고 본다"며 "중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했다는 사실은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번 입장문은 우크라이나의 영토 완전성을 존중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문제는 그 말에 뒤따르는 것들이다. 후속 절차와 그로 인한 결과가 무엇이냐가 문제"라고 분석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중국의 제안에 동의하는 부분도, 아닌 부분도 있다"며 "어쨌든 이번 제안은 의미가 있다. 사태 해결과 관련해 중국과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러시아를 겨냥해 "우리의 임무는 단 한 곳을 고립시기키 위해 모두를 뭉치게 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관련기사



한편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번 침공 사태의 전망과 관련해 "파트너들이 각자 한 모든 약속과 시한을 지킨다면 승리는 필연적으로 우리를 기다릴 것이다. 우리 모두가 우리 숙제를 다한다면 우리 모두가 이길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외교적 해결은 러시아가 침공을 중단할 때만 가능하다면서 러시아에 대해 "우리 땅에 살 권리를 존중하라. 우리 땅을 떠나라. 폭격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우크라이나와 서방보다 상대적으로 러시아에 기울어 있는 제3세계 국가들과의 유대 강화 의지도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외국을 방문하기 힘든 상황이지만 이 회의를 위해서라면 특별히 여행을 하고 싶다"면서 중남미 국가 정상들과의 정상회의를 제안했다. 또 "아프리카 국가들과 만나기 위한 조처를 해야만 한다"며 "지난 여러 해 동안 잘못했다. 주의를 못 기울였다. 이는 큰 실수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남미, 아프리카 국가들이 전쟁 종식을 위한 우크라이나의 평화 공식에 동참해줄 것을 호소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연내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를 완전히 격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한 최근 마크 밀리 미 합참의장의 발언에 대해서는 "그와 만났을 때는 그런 말을 못 들었다"며 "만약 그가 그렇게 생각한다면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각국의 기자들이 회견장을 가득 채운 가운데 두 시간 넘게 진행된 이번 회견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한 기자의 셀카 촬영에 응하고 기자들과 농담도 주고 받는 등 여유로운 모습을 보였으나 키이우 외곽 부차에서 일어난 학살에 관해 이야기할 때는 잠시 울먹이기도 했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