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보이스피싱 피해 최소화"…금감원, '금융사기 대응 TF' 구성

19개 은행과 13개 협회 및 중앙회 참여





금융감독원은 19개 은행과 13개 협회·중앙회가 참여하는 '금융사기 대응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금감원은 최근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범죄가 고도화되면서 범죄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금융권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TF를 꾸렸다.



이날 회의에서는 △금융권의 자발적 피해감축 유도를 위한 내부통제 평가제도 도입 △신속 대응체계 구축 △범금융권 금융사기 예방 홍보 추진 등 3가지 핵심과제를 논의하고 각 업권별 금융사기 대응 사례를 공유했다.

관련기사



우선 금융회사의 사전 피해예방 노력과 사후 피해구제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계량·비계량 지표를 개발해 내부통제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가 우수한 회사는 금융소비자보호 총괄 임원(CCO) 간담회 등을 통해 모범사례로 공유하기로 했다. 미흡한 회사에 대해서는 자율개선을 유도할 계획이다.

각 업권별, 금융회사별로 금융사기 수법을 적시에 파악할 수 있는 전담창구를 설치해 금감원과 금융권 간 신속 대응체계도 구축할 예정이다. 유관기관 등과 협업해 온·오프라인에서 다양한 금융사기 홍보 활동도 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회의에서는 가족 사칭 메신저 피싱에 대응하고 은행 알림톡을 통해 소비자경보를 신속하게 알리는 신한은행의 ‘우리가족 암호만들기 캠페인' 등이 우수 대응 사례로 공유됐다.

금감원은 “6월 전체회의를 개최해 3가지 논의 과제를 점검하고, TF를 상시 협의체로 운영해 신종 사기수법 등 금융권 공동 대응이 필요한 현안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