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국내 대기업 "탄소중립 긍정적이지만 기술 한계 봉착"

대한상의 설문조사 결과

"감축기술 대부분 현장에 이미 적용

고효율 신기술 개발과 실증 시급"





우리나라 대기업 상당수는 탄소중립을 위해 추가 투자를 하고 싶어도 감축수단이나 기술 측면에서 한계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존 탄소 감축 기술 대부분을 이미 현장에 적용해 추가적인 탄소 배출 축소가 더 이상 어렵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 탄소중립 혁신기술에 대한 중장기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2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온실가스 다배출기업 40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 66%는 “탄소감축 설비에 투자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투자 분야(복수응답)는 에너지효율개선(68.2%), 재생에너지사용(24.2%), 폐열 회수(18.6%), 연료전환(11.7%), 공정가스 감축(8.3%)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반면 투자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도 34%에 달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탄소중립이 기업 경쟁력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이 68.8%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수 기업은 탄소중립 투자의 필요성을 인지하면서도 추가 투자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다만 그 원인은 기업의 규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실제 대기업 중에서 투자계획을 세우지 못한 곳들은 원인 1순위로 감축수단 및 기술부족(34.8%)을 꼽았다. 국내 대기업 A사의 한 관계자는 “현재 알려져 있는 감축 기술 대부분이 현장에 이미 적용된 상태라 추가 감축에 한계가 있다”며 “고효율 설비나 수소 생산기술 등 새로운 기술 개발과 실증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반면 중소·중견기업들은 투자자금 조달 어려움(45.3%)을 1순위로 지목했다. 기업 규모에 따라 맞춤형 지원이 필요한 셈이다.

이지웅 부경대 교수는 “탄소중립 혁신기술은 아직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해 정부의 중장기적 투자가 필요하다”며 “정부가 기업에 직접 자금을 지원해 기술 개발을 유도하는 방식과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방식 등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