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선감학원 피해자지원센터 안산서 옛 경기도청사로…접근성·편의 고려

트라우마 해소·정서 안정 지원 등 기능 확대

안산서 옛 경기도청사로 이전한 선감학원사건 피해자지원센터. 사진 제공=경기도안산서 옛 경기도청사로 이전한 선감학원사건 피해자지원센터. 사진 제공=경기도




경기도는 28일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던 '선감학원사건 피해자지원센터'를 수원시 팔달구 옛 도청사로 이전했다.

도는 선감학원 피해자 상처 치유와 명예 회복 지원 등을 위해 2020년 4월 안산 선감동 경기창작센터 내 피해자신고센터를 설치했다. 그러나 시내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이용이 쉽지 않다는 의견에 따라 피해자 접근성 강화와 이용 편의 등을 고려해 이전을 결정했다. 지난해 12월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의 진실규명 신청이 종료됨에 따라 도는 센터 명칭을 기존 피해자신고센터에서 피해자지원센터로 변경하고 △피해자 트라우마 해소 △피해자 심층 상담 △정서안정 지원 △피해자 자조모임 운영 △통합 복지서비스 연계 등 지원 기능을 확대했다.



김 지사는 지난해 10월 선감학원 폐원 40년 만에 사건 현장을 방문해 관선 도지사 시절 행해진 국가폭력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선감학원 사건 치유 및 명예회복 종합대책’을 발표하며 ‘피해자 생활 지원’ 등을 약속했다. 도는 도내 선감학원 사건 피해자들에게 △피해자 생활 안정 지원금 월 20만 원 △위로금 500만 원 △경기도의료원 연 500만 원 한도 의료서비스 지원 △상급종합병원 연 200만 원 한도 의료 실비 지원을 추진 중이다. 3월 말 첫 지원이 이뤄지면 지난해 10월 도지사의 약속이 이행된다. 이는 ‘국가폭력’에 대한 지자체 차원의 최초 위로금 및 생활안정비 지원이라고 도 관계자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선감학원 피해대책협의회 회장 등과 대화 하는 김동연 지사. 사진 제공=경기도선감학원 피해대책협의회 회장 등과 대화 하는 김동연 지사. 사진 제공=경기도


지난 1월 16일부터 이날까지 생활안정지원금 신청자는 121명이다. 도는 대상자를 100명으로 예상했으나 접수 40여 일 만에 이를 웃돌았다. 도내 거주 피해자들만 지원할 수 있는 조례를 근거로 한 신청요건 때문에 다른 지자체에서 거주 중인 피해자들이 상당수 경기도로 전입한 것으로 도는 보고 있다. 현행 지방자치법과 지방재정법상 지자체가 관내 주민이 아닌 이들을 지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김영배 선감학원사건 피해자지원센터장은 “김동연 지사가 선감학원 문제에 대해 먼저 진심 어린 사과를 하니 특별법, 과거사법 토론회 등이 힘을 받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공권력에 의해 인권이 침해된 선감학원사건 피해자들에 대한 경기도의 지원으로 물꼬를 텄으니 이제 국가가 진심으로 사과하고 반성해야 한다"며 “이태원 참사에 대해서도 책임 있는 국가의 지도자가 진심으로 사과하고 반성하고 인정을 하는 게 첫걸음이라고 생각하는데 선감학원도 똑같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원 신청자가) 더 늘어나서 예산이 부족하면 방법을 찾을테니 (경기도로) 오셨으면 한다"며 "가족들에게 혹시 폐가 되거나 부끄러워서 안 하시는 분들도 떳떳하게 얘기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수원=이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