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우리나라서 확인된 자생생물 총 5만 8050종

1년 전에 비해 1802종 추가돼

우리나라 지명 학명에 포함된 신종 79종

소백산 지명이 학명에 쓰인 ‘소백털털이맵시털’. 사진제공=환경부소백산 지명이 학명에 쓰인 ‘소백털털이맵시털’. 사진제공=환경부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자생생물 종이 총 5만 8050종에 이른다고 7일 밝혔다.



이는 2022년 국가생물종목록을 기준으로 집계한 것으로, 1년 전에 비해 1802종이 새로 추가됐다.

이 중 척추동물은 2074종으로, 무척추동물은 3만 867종으로 집계됐다. 식물은 5683종이고 균류 및 지의류는 6116종이다. 조류(藻類)는 6493종으로 나타났고 원생동물은 2508종, 원핵생물은 4309종이다.

이번에 새로 추가된 자생동물 1802종 중에 신종은 565종이고 미기록종은 1237종이다.



이 중 우리나라 지명이 학명에 포함된 종은 총 79종이다. 소백산에서 채집된 ‘소백털털이맵시털’과 우리나라 국명을 넣은 ‘한국털털이맵시벌’이 대표적이다.

관련기사



독도 동도에서 발견된 원핵생물 신종엔 ‘슈와넬라 독도넨시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독도 지명이 학명으로 쓰인 것이다. 동해 연안에서 발굴된 홍조류는 ‘필마토리톱시스 동해엔시스’를 학명으로 쓴다.

보통 신종의 학명을 지정할 땐 주로 종의 특성을 고려하지만, 고유종 등에 대해선 지역 특수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기후변화 등으로 해류를 따라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것이 최종 확인된 열대성 생물종이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인도·태평양 해역에 분포하는 ‘두점긴주둥이놀래기’는 이번에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됐다. 2015년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여름과 가을에 매년 관찰되고 있기 때문이다. 적도 해역에 분포하는 ‘애기선녀부채’도 2001년 최근 제주 지역 바닷가 암반에서 자주 출현해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7년 개관 이후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생물의 표본과 문헌 정보 등을 조사하고 매년 신규 종을 추가해 그해 연말 기준으로 국가생물종목록 현황을 공개하고 있다.

국가생물종목록은 한반도 생물종의 분포 기록에 대한 기본 통계자료인 동시에 생물 관련기관 학계 및 산업계 등에서 여러 방면으로 쓰인다.

김창무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종다양성연구과장은 “현재 한반도에는 약 10만 종의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까지 60%인 5만 8000여 종만이 그 실체가 확인됐다”며 “지속적인 조사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종 다양성의 변화와 우리나라 자생종에 대한 자료 조사 결과를 반영한 국가생물종목록의 확대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