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親암호화폐 은행 연이은 뱅크런…“예치금 현황 정확히 파악해야”

실버게이트·시그니처 연이은 붕괴

은행 암호화폐 취급 '그림자 규제' 원인

국내 거래소 5곳 중 3곳도 소규모 은행

예치금 규모·운용 현황 파악 강화 필요

출처=셔터스톡출처=셔터스톡




미국 내 대표적인 친(親)암호화폐 은행 두 곳이 연달아 문을 닫으면서 암호화폐 거래소에 원화 계좌를 제공하고 있는 국내 은행에도 관심이 쏠린다. 국내 5대 거래소 가운데 3곳이 고객 예치금을 대형은행이 아닌 인터넷·지방은행과 같은 소규모 은행에 보관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들 은행의 뱅크런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지만 FTX 사태와 같이 돌발적인 위기 상황으로 대량 인출이 발생할 수 있는만큼 예치금 관리 강도를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17일 외신에 따르면 미 금융당국은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암호화폐 은행 시그니처뱅크의 인수 조건으로 암호화폐 관련 사업 포기를 내건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에 따르면 시그니처뱅크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총 885억 9000만 달러의 고객 예금을 보유했고 이 가운데 약 25%가 암호화폐 관련 자금으로 추산된다. 시그니처뱅크는 지난 10일 하루에만 100억 달러(약 13조 원)가 넘는 대규모 뱅크런이 발생하면서 캘리포니아주 금융보호혁신국으로부터 충분한 유동성과 지급불능을 이유로 폐쇄 명령을 받았다. 대표적인 암호화폐 취급 은행에서 대량의 예금 인출 사태가 일어난 건 실버게이트에 이어 두 번째다.



전문가들은 연속적인 암호화폐 은행 뱅크런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은행의 암호화폐 시장 진입에 대한 미 규제당국의 ‘그림자 규제’를 지목한다. 미 당국이 대형은행의 암호화폐 시장 진입을 암묵적으로 제한하면서 암호화페 관련 예금의 비중이 높은 소규모 은행들이 암호화폐 업체 주거래 은행으로 부상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실버게이트의 경우 암호화폐 관련 예금의 비중이 80%에 달하고, 시그니처뱅크는 20~30% 수준으로 비교적 낮지만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릭 에델만(Ric Edelman) 미국 디지털 자산 위원회 창립자는 “은행이 규제당국으로부터 ‘암호화폐 회사와 거리를 두라’는 경고를 받고 있다”며 “법적 정당성이 없는 노골적인 편견이 지속될 경우 미국의 혁신을 해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 당국의 규제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국내 상황 역시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암호화폐에 부정적인 금융당국의 눈치를 보는 국내 대형은행들이 암호화폐 관련 사업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국내 5대 원화 거래소 중 3곳이 인터넷·지방은행 등으로부터 원화 입출금 계좌를 발급받았다. 국내 암호화폐 시장 점유율 약 80%를 차지하고 있는 업비트는 신생 인터넷은행 케이뱅크에 현금 예치금을 보관 중인데 지난해 11월 분기보고서 기준 전체 예수금(예수부채) 약 13조 원 가운데 3분의 1 수준인 4조 원 가량이 업비트 예치금으로 추정된다. 코인원은 카카오뱅크, 고팍스는 전북은행 계좌를 사용한다. 국내 암호화폐 투자자 예치 자산 대부분이 소규모 은행의 관리를 받고 있는 것이다.

다만 국내 은행은 미국처럼 파산 리스크가 크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은행들이 기관의 암호화폐 투자를 금지하고 있는 당국 기조에 맞춰 원화 입출금 외에는 암호화폐 업체와 다른 비즈니스 관계가 없고 예치금 투자에 대한 당국의 규제가 강해 일정 한도 이상 투자가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지난해 글로벌 대형 거래소 FTX 파산 사태와 같이 예측 불가능한 악재가 터졌을 거래소 뱅크런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FTX 사태에 대한 대응 방편으로 거래소가 외부 실사보고서를 통해 지급준비율을 공개하고 있지만 정확한 고객 예치금 규모나 운용 현황이 베일에 쌓인 점도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이와 관련해 원화 거래소와 제휴한 은행 관계자는 “거래소 예치금은 대출 등에 활용하지 않고 단기 국채나 환매조건부채권(RP)등 고유동성 자산으로 운용한다”고 밝혔다.

황현철 홍익대 경영학과 교수는 “거래소가 위험에 빠져 고객이 예치금을 빼기 시작하면 갑작스런 뱅크런이 발생할 수 있다”며 “고객 예치금 운용 현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