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에 노출되면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6일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조재림·김창수 교수,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14년 8월부터 32개월간 서울과 인천, 원주, 평창에 사는 5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 640명을 대상으로 주요 대기오염 물질인 초미세먼지(PM2.5), 미세먼지(PM10), 이산화질소(NO3) 노출이 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대기오염 물질에 노출된 이후 대뇌피질의 변화를 살폈다. 대뇌피질은 대뇌 표면에 신경세포가 모여 있는 곳으로 기억과 학습 능력 등 여러 뇌 인지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대뇌피질의 변화는 알츠하이머 치매 등 뇌 질환과 연관이 깊다. 보통 건강한 일반인의 대뇌피질 두께는 평균 2.5㎜인 한편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는 2.2㎜로 더 얇다.
연구 결과,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가 올라갈수록 대뇌피질 두께가 감소했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가 10㎍/㎥, 이산화질소가 10ppb 높아지면 대뇌피질 두께는 각각 0.04mm, 0.03mm, 0.05mm씩 줄었다.
이어 연구팀은 뇌 영상 기반의 인공지능 기법으로 ‘알츠하이머 치매 뇌 위축 지수 평가’도 진행했다. 이는 대뇌피질 두께 축소 정도를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와 비교한 것인데, 대기오염 물질로 인한 대뇌피질 감소 양상이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대뇌피질 위축과 흡사함을 보였다.
치매는 전두엽과 측두엽, 두정엽, 뇌섬엽 등 사고력과 주의력, 공간지각력, 기억력을 관장하는 뇌 부위가 줄어들면 그 기능이 떨어져 발병하게 된다. 그런데 대기오염 물질에 노출된 사람들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와 마찬가지로 대뇌피질의 네 가지 부위가 모두 위축됐다.
아울러 대기오염 물질 농도가 높아질수록 인지기능 역시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가 10㎍/㎥, 이산화질소가 10ppb 높아지면 알츠하이머 치매로 이어지기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위험이 각각 1.5배, 2.2배, 1.7배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조재림 교수는 “이번 연구로 대기오염 물질이 대뇌피질을 위축시켜 인지기능을 떨어뜨리고 치매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대기오염이 심할 때는 외출을 삼가고, 바깥 활동을 할 경우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환경 분야 국제학술지(Environment International) 최신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