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그냥 쉬는’ 청년 50만 명…기업이 살아야 좋은 일자리 창출한다


구직 활동을 포기하고 ‘그냥 쉰다’는 청년층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월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 준비를 하지 않고 쉬었음’이라고 답한 청년층은 49만 7000명으로 1년 사이 4만 5000명(9.9%)이나 증가했다. 월간 기준으로 2003년 1월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다. ‘쉬었음’이라고 대답한 청년층 인구는 2019년 2월 38만 6000명에서 2021년 2월 44만 9000명으로 늘어나는 등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미래 경제를 짊어져야 할 세대가 일할 능력이 있음에도 구직 노력조차 중단한다면 여간 심각한 일이 아니다. 이는 젊은 세대의 결혼·출산 기피로 이어져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낳을 수 있다. 물론 방만하게 운영되는 실업급여 혜택을 노리고 구직 전선에 나서기를 꺼리는 일부 사례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꺼리면서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 즉 질 좋고 지속 가능한 고용이 크게 줄어들었다는 사실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올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을 세운 기업은 45%에 불과했다. 현대차가 10년 만에 실시한 생산직 공채에 취업 희망자가 몰려 채용 사이트 서버가 마비된 것은 양질의 일자리에 대한 청년들의 기대가 절실함을 보여준다. 구직자의 취업 눈높이와 기업들의 채용 눈높이가 다른 점도 문제다. 반도체 업계만 해도 향후 10년 동안 3만여 명의 인력이 필요하지만 일손을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산업 현장에 필요한 맞춤형 대학 교육을 강화하고 시장 변화에 따른 인력 재교육에도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일자리 창출 우수 기업들을 초청해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라며 “양질의 일자리는 민간에서 나온다”고 역설했다. 정부는 좋은 일자리 창출을 뒷받침하기 위해 기업 활동을 억누르는 규제를 과감히 혁파하고 투자 활력을 북돋는 데 주력해야 한다. 우리 기업들이 해외 경쟁사들에 비해 불리한 여건에서 뛰는 일이 없도록 세제·예산 지원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산업 현장에서 법치를 확립하고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는 노력도 빼놓을 수 없다.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이 최상의 일자리 창출 정책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