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소득 최하위 계층의 극단 선택을 생각한 비율이 최상위 계층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2021년 3월 22~23일 전국 17개 시·도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여 분석한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에게 평등하지 않았다’는 보고서를 23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우울증상 유병률은 월 평균 가구소득 100만 원 미만인 소득 최하위 계층(32.8%)과 500만 원 이상인 최상위 계층(13.4%)의 격차는 2.4배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자살 생각을 한 비율도 최하위 계층이 24.1%로, 최상위 계층(6.74%) 대비 약 3.6배 많았다.
가구 구성원별로는 1인 가구일 경우 위험이 더욱 커졌다. 우울 증상 유병률은 21.6%, 2인 이상 가구일 경우 17.2%로 그 격차는 4.4%포인트였다. 특히 남성의 경우 2인 이상 가구일 때 14.5%인데, 1인 가구이면 22.9%로 증가해 그 격차는 1.6배에 달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자살 생각을 한 비율은 1인 가구가 13.5%로 분석돼 2인 이상 가구(7.7%)와의 격차는 1.8배였다.
이 기간 우리 사회에 만연했던 낙인 인식도 심리적 고통을 가중 시켰다. 우리 사회가 확진자에 대한 낙인 인식이 ‘없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우울 증상 유병률은 8.9%인데 반해, ‘다소 있다’라고 응답한 집단은 17.5%, ‘매우 심함’으로 응답한 집단은 39.1%로 크게 증가(4.4배)했다.
연구원은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재난으로 인한 정신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 약자와 취약 계층에 대한 우선적 중재 프로그램 마련 △찾아가는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팬데믹에 대한 부정적 편견과 낙인 인식을 해소하는 정책 등을 제시했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팬데믹이 발생했을 때 국민 정신건강 위험이 전염병처럼 확산하는 멘탈데믹(mentaldemic)에 대비해야 한다”며 “신종 감염병에 대한 불필요한 편견과 공포의 확산을 방지하고, 우리 사회의 약자들과 취약 계층의 형편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