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제주 80여곳 걸린 이 현수막…도민들은 모두 경악했다

제주4·3연구소 "허위·막말로 도민에 모욕감 현수막 철거해야"

오영훈 지사 "왜곡·비방 처벌 4·3특별법 개정안 신속 처리해야"

연합뉴스연합뉴스




75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을 앞두고 '4·3은 김일성의 공산폭동'이라는 내용의 현수막이 등장해 지역사회가 분노에 휩싸였다. 현수막에는 "제주4·3 사건은 대한민국 건국을 반대하여 김일성과 남로당이 일으킨 공산폭동이다"라고 쓰여 있다. 지난 21일부터 도내 주요 거리인 제주시청 인근과 오라동, 노형동 등 무려 80여곳에 내걸린 이들 현수막은 우리공화당, 자유당, 자유민주당, 자유통일당 등 4개 정당과 자유논객연합 명의였다.



22일 제주4·3연구소는 "우리공화당 등 5개 정당·단체가 4·3을 왜곡하는 현수막을 내걸었다"며 "추념식을 앞둔 시점에서 벌이는 이런 행위는 유족과 도민사회의 분노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성명을 냈다.

연구소는 "막말을 넘어 4·3 희생자와 유족들은 물론 제주도민에게 씻을 수 없는 모욕감을 주고 있다"며 "명백히 역사를 왜곡한 현수막을 철거하라"고 촉구했다.

제주4·3평화재단에는 "4·3을 왜곡하는 현수막 철거를 해당 정당 등에 요청해달라"는 도민들의 전화가 이어졌다.

오영훈 제주지사 또한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최근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4·3 망언에 이어 일부 보수 정당까지 4·3을 폄훼하고 역사를 왜곡하는 현수막을 도내 곳곳에 설치해 충격을 주고 있다"고 질타했다.

오 지사는 "4·3 명예훼손과 역사 왜곡 방지를 위해 국회는 4·3 진상조사 결과와 희생자, 유족, 관련 단체를 모욕·비방하거나 허위 사실을 유포하는 경우 처벌할 수 있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제주4·3특별법 개정안을 신속하게 처리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무분별한 정당 현수막 설치를 제재할 수 있도록 관련 법 개정도 요구했다.



현수막을 내건 자유당 김동일씨는 "4·3 진상조사보고서는 지난 노무현 정권에서 정치적으로 만들어낸 것"이라며 "제주도인민유격대 투쟁보고서, 미군 자료 등에 공산주의자들이 상부의 지령을 받는 장면이 나오는데 지구상의 자발적인 공산 폭동은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이어 "유추해보면 김일성, 모스크바 등의 상부 지령을 받아서 시행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4·3도 상부의 지시를 받은 것으로 보이며 도민 자발적으로 일어났다는 것은 황당한 주장"이라고 지적했다.

윤석열(가운데) 대통령이 지난해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4주년 4·3희생자 추념식에 당선인 신분으로 참석해 분향하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가운데) 대통령이 지난해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4주년 4·3희생자 추념식에 당선인 신분으로 참석해 분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당선인 신분이던 지난해 4·3 추념식에 참석해 "우리는 4.3의 아픈 역사와 한 분, 한 분의 무고한 희생을 기억하고 있다"며 "억울하단 말 한마디 하지 못하고 소중한 이들을 잃은 통한을 그리움으로 견뎌온 제주도민과 제주의 역사 앞에 숙연해 진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4.3의 아픔을 치유하고 상흔을 돌보는 것은 4.3을 기억하는 바로 우리의 책임이며, 화해와 상생, 그리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대한민국의 몫이다. 4.3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의 온전한 명예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4.3 명예회복을 위한 중단없는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정부 진상조사보고서에 의하면 4·3은 1947년 3월 1일 삼일절 기념대회에서의 경찰 발포 사건과 이어진 경찰의 과도한 검거 작전 등이 도화선이 됐다.

또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이 주도한 무장봉기는 남로당 중앙당 지시 없이 남로당 제주도당이 단독으로 주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진상조사보고서를 토대로 4·3은 제주도의 특수한 여건과 3·1절 발포사건 이후 비롯된 경찰·서북청년단과 제주도민과의 갈등, 그로 인해 빚어진 긴장 상황을 남로당 제주도당이 (단독으로) 5·10 단독선거 반대 투쟁과 접목해 일으킨 사건으로 판단했다.

정부 차원의 제주4·3 진상규명은 23년 전인 2000년 4·3특별법이 제정된 이후부터 본격 시작됐다. 정부 진상조사보고서에는 제주4·3 당시 적게는 1만4000명, 많게는 3만명이 희생당한 것으로 잠정 보고됐다.


김태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