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점이나 공공장소를 찾은 부모가 함께 온 아이들을 달래려 유튜브를 시청하게 하는 모습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이같은 디지털 미디어 시청이 아이의 사회성 발달 저하를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성구 교수 연구팀은 2013~2019년 사회성 발달 지연으로 치료 받은 영유아 96명과 발달 지연이 없는 대조군 10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은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분석 대상 영유아의 부모와 인터뷰를 통해 미디어 노출시간, 시기, 형태 등을 분석했다.
이 결과 사회성 발달 지연 군의 95.8%가 만 2세 이전에 디지털 미디어를 시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발달 지연이 없는 대조군에서는 만 2세 이전에 디지털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이 59.4%에 그쳤다.
평균 2시간 이상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은 사회성 발달 지연 군에서는 63.6%, 대조군에서는 18.8%로 각각 집계됐다.
미디어 시청 때 보호자가 함께 있었는지도 차이가 있었다. 사회성 발달 지연 군에서는 아이 혼자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이 77.1%였지만 대조군은 이런 비율이 38.6%였다.
시청 프로그램의 유형에서도 영어과 동화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시청한 비율이 사회성 발달 지연군보다 대조군에서 높았다.
사회성 발달 지연군은 아이에게 미디어를 시청하도록 한 이유로 △부모의 우울·건강문제·맞벌이(55%) △아이 달래기(26.5%) 등을 주로 꼽았다.
연구팀 김 교수는 “어린 나이에 긴 시간 미디어에 노출되면 부모와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며 창의적으로 놀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든다”라면서 “유아의 기억력, 주의력, 인지력의 한계와 미디어의 일방향성으로 인해 뇌 발달 민감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사회성 발달 저해를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발달 지연 아이의 경우 부주의하고 지나치게 활동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부모들이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미디어 노출이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영유아가 미디어를 시청하더라도 보호자와 함께 상호교류 속에 제한된 시간만 교육적인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하면 사회성 발달 지연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