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작업환경 개선·장려금 지원…'일자리 불일치' 대응 팔 걷은 부산

구직자·기업 아우르는 방안 확정

조선·기자재 등 특별관리업 지정도





부산시가 지속적으로 심화하고 있는 일자리 불일치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적극 나섰다. 임금격차와 근무환경 등의 이유로 기업과 구직자의 구인난이 동시에 발생한다는 판단 아래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9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구직자와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일자리 불일치 해소 방안을 확정했다. 이를 통해 기업 미충원 인원과 미충원율을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미충원율은 모집 정원에서 채우지 못한 인원수의 비율로, 코로나19 이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부산시의 지난해 하반기 미충원율은 13.4%로 나타났다. 모집인원은 6만4538명이었으나 채용인원은 5만5901명에 그쳤다. 8637명의 불일치가 나타난 셈이다. 특히 같은 해 상반기와 전년도 하반기 미충원율이 각각 10.1%, 11.2%으로 집계돼 일자리 불일치 간극이 더 벌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관련기사



다만 전국 평균과 대비해 미충원율이 낮다는 점은 긍정적인 신호다. 지난해 하반기 전국 미충원율은 15.4%로 18만5105명의 구인난이 발생했다. 시는 중소기업 근로여건 개선 등을 통해 제조·현장직의 기피 현상을 줄이고 일자리 수급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방침이다.

먼저 구인난이 심각한 서부산권과 위기업종인 조선·기자재업, 관광마이스업을 특별관리지역·업종으로 지정해 구인난 해소에 집중한다. 취업자와 기업에게 취업·채용 촉진을 위한 장려금을 지원하고 업종별 전담 지원기관을 운영하는 등의 방식이다.

근로환경 개선에도 힘쓴다. 산업단지 내 영세 중소기업의 작업장과 식당 등의 환경을 개선하고 찾아가는 커피트럭을 운영해 커피와 다과도 제공한다. 특히 심리상담 등을 확대 운영해 제조업 근로자의 복지를 향상한다.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 등 미래 신성장산업 고급인력과 투자유치 기업과 맺은 채용약정을 토대로 기업 실무인력 양성도 지원한다. 또 외국인력 수요조사를 추진해 적정 수준의 외국인 근로자 도입을 돕는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고용동향 모니터링과 일자리대응반 운영 등을 통해 고용위기 대응체계를 가동한다”며 “유능한 인재들이 부산 기업에 취업하고 부산에 영구히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