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강원·전남에 규제자유특구 추가 지정…수소·친환경어선 생산 실증

한덕수 국무총리가 1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10차 규제자유특구 내 기업 부스에서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함께 로봇을 살펴보고 있다. / 연합뉴스한덕수 국무총리가 1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10차 규제자유특구 내 기업 부스에서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함께 로봇을 살펴보고 있다. / 연합뉴스




강원이 목재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 전남은 재활용 가능 소재로 소형 어선을 제작할 수 있는 특구가 들어선다.

정부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10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규제자유특구 지정안을 확정했다.



새로 지정된 강원 ‘미이용 산림 바이오매스 청정수소 생산·활용 특구’에서는 폐목재, 산림 부산물을 원료로 고순도의 수소를 생산한다. 현행법상 도시가스, 액화석유가스, 탄화수소, 알콜류에서 수소를 추출할 수 있다. 하지만 정부는 강원 특구에서 합성가스에서도 수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특례를 부여했다. 수소 추출 실증은 태백시에서 운영하는 철암발전소에서 진행된다.

관련기사



전남 ‘친환경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소형어선 특구’에서는 10톤 미만의 소형 어선을 HDPE 소재로 건조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국내 어선의 96%는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소재로 제작되는데 재활용이 불가능해 환경 문제 또한 제기된다. 이에 전남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인 HDPE 소재로 어선을 제조할 수 있도록 했다.

이날 규제자유특구위원회는 부산 블록체인 특구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진료 뒤 실손보험을 간편하게 청구하는 서비스를 실증하도록 했다. 전북 탄소융복합 특구에서는 국산 탄소섬유를 활용해 수소용기와 수소연료전지 제작에 나선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대한민국 혁신기업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규제자유특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