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과 채권 투자 심리가 되살아나면서 2월 통화량이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시중은행의 예금금리 하락으로 정기예·적금에서 돈을 빼 주식이나 채권투자로 이동하는 ‘머니무브’가 나타나는 조짐이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올 2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819조 5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0.3%(12조 7000억원) 늘었다. 앞서 지난 1월 통화량은 한 달새 0.1%(3조3000억원) 줄면서 2013년 8월(-0.1%) 이후 9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금, 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2월 통화량이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주식과 채권투자 수요 회복 등으로 수익증권이 11조 1000억원, MMF에서 6조 7000억원이 각각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수익증권 증가액은 2007년 11월(13조 1000억원)에 이어 역대 2위 규모다.
반면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에서는 각각 8조 6000억원과 4조 1000억원이 빠져나갔다. 수신금리 하락 등으로 정기예·적금 증가폭(6조 8000억원) 역시 전월(24조 8000억원)보다 크게 축소됐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비영리단체에서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유동성이 17조 1000억원 늘었다. 기타 금융기관에서도 MMF 및 수익증권을 중심으로 3조 8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기업의 경우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정기예·적금 위주로 5조 2000억원이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