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털 업계가 최근 극심한 침체를 보이고 있는 벤처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회수시장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딥테크 기업에 대한 기술특례상장제도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벤처캐피탈협회는 18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벤처캐피탈 포럼’을 개최했다.
윤건수 벤처캐피탈협회장은 “첨단산업에 대한 투자금 회수시장 활성화가 매우 시급하다”며 “딥테크 기술특례상장제도를 신설해 세계적 첨단 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상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투자자도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코스닥 시장의 본질은 새로운 산업을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오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도입한 것처럼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차세대 디스플레이 같은 첨단산업육성분야에도 도입해 회수시장이 활성화돼야 민간 자금 유입이 늘어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벤처캐피털 업계도 회수시장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구영권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부사장은 “현재는 바이오 분야에서 일부 기업이 횡령 등 문제를 일으키면 다른 산업의 상장 문턱까지 높이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이런 식이라면 신사업을 할 수 있는 여건 자체가 없어질 것 같다”고 토로했다. 그는 “바이오기업 대상 특례상장이 있지만 최근 2~3년간 상장 규제가 엄격해졌다”며 “미국 나스닥처럼 시장 논리에 따라 특별한 위반사항이 없는 회사라면 상장이 이뤄지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규제개혁을 통한 신산업 기회 확보도 해법으로 제시됐다. 윤 회장은 과거 화장품 원료와 관련해 네거티브 규제가 도입된 사례를 거론하며 “규제 개선이 이뤄지면 바이오 분야에서도 아모레퍼시픽 같은 글로벌 기업이 충분히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정부의 의지를 가장 쉽게 보여줄 수 있는 것은 결국 예산”이라며 “투자는 심리다. 모태펀드 증액을 통해 투자 사각지대에 있는 기업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벤처캐피털 업계를 대표해 포럼에 참여한 관계자들은 이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투자 심리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신아 카카오(035720)벤처스 대표는 “(저희 회사도) 최근 시리즈 B 이후 기업에는 신규 투자를 들어가지 않았다. 기업가치에 대한 이견이 크고, 리드 투자를 하겠다고 나서는 곳도 없었다”면서도 “다만 프리 A 시장은 여전히 활발하다. 가령 반도체 분야 창업자들은 창업 시작부터 기업가치 300억 원을 부를 정도로 활발하다”고 현재 분위기를 전했다.
이영 장관은 “벤처·스타트업이 처한 복합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2조 원 이상의 자펀드를 조성하고 투자 목표 비율을 달성한 운영사는 관리보수 추가 등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세컨더리펀드 확대를 비롯해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한 인수합병(M&A) 환경 개선 등 대책도 조만간 내놓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