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 서울대병원과 ‘AI로 영유아 자폐 진단’ 검사소 마련

‘영유아 발달진단 AI 리빙랩 개소

AI가 아동 행동 관찰해 장애 판단

1200명 검사해 데이터·AI 고도화


SK텔레콤이 서울대병원과 손잡고 인공지능(AI) 기술로 영유아의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진단하는 전용 검사소 ‘영유아 발달진단 AI 리빙랩’을 서울 종로구에 열었다고 20일 밝혔다.

SK텔레콤이 서울대병원과 손잡고 20일 개소한 ‘영유아 발달진단 AI 리빙랩’. 사진 제공=SK텔레콤SK텔레콤이 서울대병원과 손잡고 20일 개소한 ‘영유아 발달진단 AI 리빙랩’. 사진 제공=SK텔레콤





리빙랩의 AI는 영유아의 행동을 분석해 자폐스펙트럼 장애 여부를 판단한다. 부모를 등지고 있는 아동을 불렀을 때 아동이 고개를 돌리지 여부와 그 횟수, 속도, 각도를 관찰하는 호명반응 검사 등을 AI로 진행해 장애 정도를 수치화한다. AI는 아동의 시선, 표정, 행동을 함께 관찰해 기존 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나 촬영 영상보다 일관성 있고 종합적인 판단이 가능할 것이라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다양한 AI 기술을 제공하고, 서울대병원은 AI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의학적 진단을 내리고 치료를 지원한다. 내년 말까지 자폐, 자폐 고위험, 일반 아동 포함 총 1200명을 검사해 임상 데이터를 쌓고 AI모델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엄종환 SK텔레콤 ESG얼라이언스 담당은 “AI 기술이 사회적으로 선용될 수 있어 기쁘다”며 “향후에도 AI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붕년 서울대병원 교수도 “장기적으로 모든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AI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고 했다.


김윤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