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대 연봉을 기대하며 ‘유튜버 전향’을 꿈꾸는 직장인들도 많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는 2년 새 12배로 늘었지만, 이들 가운데 하위 50%의 연 수입은 4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1인 미디어 창작자(유튜버 등) 수입 금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인원은 3만4219명이었다. 2019년(2776명)과 비교했을 때 12.3배 급증한 것이다.
1인 미디어 창작자는 유튜버, 인터넷 방송 진행자(BJ) 등 인터넷과 모바일 기반 미디어 환경에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공유해 수익을 창출하는 이들을 말한다.
이들 가운데 수입이 상위 1%에 해당하는 342명은 1인당 연평균 7억1300만 원을 벌어들였다. 2019년 상위 1%(27명)의 평균 수입(6억7100만원)보다 6.3% 늘었다. 이들의 총 수입은 2439억 원으로 전체(8589억 원)의 28%를 차지했다.
2021년 기준 1인 미디어 창작자의 연간 평균 수입은 2500만원으로 2019년(3200만원)보다 700만원 줄었다. 특히 수입 하위 50%(1만7110명)의 연평균 수입은 40만원에 그쳐, 2019년(100만원)보다도 줄었다. 수입을 신고한 유튜버 등의 수가 늘어나 평균 수입이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양 의원은 상위 1%의 수입은 신고된 금액보다 더 많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화면에 계좌번호를 공개해 후원을 받거나, 광고임을 알리지 않는 일명 ‘뒷광고’를 통해 돈을 받는 등 과세 사각지대를 이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양 의원은 “매년 탈세를 하는 유튜버들이 다수 적발되고 있다”며 “과세당국은 탈세 혐의자들을 엄중하게 검증해 공정 과세를 구현하고 세입 예산 확보에 기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상위 1%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튜버는 최저 생활비에도 못 미치는 수익을 올리고 있다. 부푼 꿈을 안고 고가의 장비를 구매했다가 ‘쌩돈’만 날리는 사람들도 많다.
한편 유튜브에선 구독자 1000명 이상, 지난 1년간 콘텐츠 시청시간 4000시간을 충족한 채널에 한해 광고 수익을 나눠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이마저도 45%를 수수료로 떼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