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알뜰폰 망사용료 더 낮춰야

IT부 김윤수 기자






SK텔레콤이 올해 1분기에도 영업이익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갔다. 같은 기간 고객용 휴대폰 회선 수가 40만 개 줄었으나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를 객단가(ARPU)가 높은 5세대(5G) 이동통신으로 전환했고 비용(별도 기준 영업 비용)까지 줄인 덕이다. 특히 마케팅 비용은 5G 출시 이후 최저 수준이던 지난해 1분기 1.6% 증가에 그쳤다. 11일 실적을 발표하는 KT와 LG유플러스까지 합친 통신 3사 합산 영업이익의 시장 전망치는 역대 1분기 최고였던 지난해(1조 3202억 원)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알뜰폰(MVNO)의 약진이 무색할 만큼 경쟁이 실종된 통신시장 상황이 SK텔레콤의 실적 발표로 재확인됐다.

관련기사



알뜰폰은 정부의 통신 시장 경쟁 활성화 정책에 맞춰 꾸준히 성장해 올해 들어 SK텔레콤의 가입자 점유율 40%선을 무너뜨렸지만 여전히 경쟁 촉진을 위한 촉매제가 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5G 요금제로 고수익을 올리는 통신사에 저가 LTE 요금제 가입자의 알뜰폰 이동은 별다른 위협이 되지 못하고 있다. LTE와 달리 알뜰폰의 5G 시장 점유율은 0.7%, 가입자는 22만 명에 불과하다. 정부는 알뜰폰을 키워 통신 시장 경쟁을 유도한다는 구상이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알뜰폰의 5G 진출이 이뤄져야 한다.

정부와 알뜰폰 업계는 통신사에 5G 도매 대가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40~50% 선인 LTE보다 높은 도매가율인 60% 수준의 5G 요금제로는 가격 경쟁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가령 최근 월 4만 원대에 50~80GB 데이터를 제공하는 알뜰폰 5G 요금제가 새로 나왔지만 이러한 조건이라면 차라리 월 3만 원대에 71~150GB를 제공하는 기존 LTE 요금제를 파는 게 유리하다는 게 중소 알뜰폰 업체들의 판단이다.

정부는 알뜰폰 업계를 대신해 통신사를 설득하고 있지만 결정은 결국 통신 3사의 몫이다. 정부는 통신사들이 경쟁이 제한된 과점 시장에서 수익성 극대화에만 골몰한다면서 압박을 지속하고 있다. 정부의 지나친 간섭과 개입도 문제지만 통신사도 사회적 책임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 통신 3사가 가계 통신비 부담 완화를 위해 중간 요금제를 출시한 취지를 되새겨 알뜰폰 업계의 도매 대가 인하 목소리에도 귀 기울여주기 바란다.


김윤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