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남해안 일대에 수만마리의 정어리 떼가 몰려드는 기 현상이 올해도 벌어질 것으로 보는 예측이 나왔다.
14일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수과원이 올해 4월부터 통영 연안에서 정어리 자원 동향을 관찰한 결과 정치망에 잡힌 어획물 91%를 정어리가 차지하는 등 정어리 출몰이 대폭 늘고 있다. 2006년 이후 정어리가 가장 많이 잡혔던 지난해에도 6월부터 정어리가 본격적으로 어획됐는데, 올해는 그 시기가 빨라지고 잡히는 비율도 늘어났다. 수과원은 "정어리가 높은 점유율 보이며 연안으로 유입이 빨라지고 있는 것 같다"면서 "올해도 지난해처럼 남해안 연안에 다량의 정어리 무리가 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어리는 대표적인 회유성 어종의 하나로 동북아시아 해역에 주로 분포한다. 플랑크톤을 주로 섭취하면서 포식자들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거대한 무리를 짓고 이동하는데 그 규모가 최대 수㎞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국내 정어리 어획은 1987년 19만4000톤으로 가장 많은 어획량을 보였다. 이후 어획량이 급속도로 줄어들다가 2006년에는 공식적인 어획량이 ‘0’으로 집계됐다. 그러다가 2011년 2500톤으로 소규모로 다시 잡히기 시작해 2017년에는 8100톤이 어획됐고, 지난해는 1만2000톤까지 올랐다.
특히 지난해에는 정어리 떼가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과 경남 진해·통영 연안 등에도 대량 출몰하면서 시민들의 궁금증을 자아냈다. 통영 일부 방파제에서는 대형 뜰채로 퍼내도 끝도 없을 정도의 정어리가 밀려왔고, 진해만에서는 연안으로 들어온 정어리가 산소부족 등으로 집단 폐사한 채 발견되기도 했다.
이런 정어리 떼의 갑작스런 대량 등장과 폐사에 대해 온라인 상에서는 ‘지진 전조 현상’ 등의 괴담이 퍼지기도 했다. 동물은 사람보다 자연현상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사람이 느끼지 못하는 미세한 진동이나 중력의 변화 등을 감지한다는 것 때문에 정어리 떼의 등장과 죽음이 괴담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전문가는 국내 연안의 수온과 먹이 환경이 다시 정어리 떼가 몰려들 수 있도록 변화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수과원은 “올해도 지난해처럼 남해안 연안에 다량의 정어리 무리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조사를 통해 관련 정보를 어업 현장에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