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역 소상공인에 기업가 DNA를 접목시켜 혁신의 아이콘인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 원 이상 비상장기업) 처럼 키워나간다. 기술 창업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이 덜했던 의식주 등 생활 문화 분야에서 루이비통, 나이키 등과 같이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가형 소상공인을 만들겠다는 생각이다. 정부는 이에 대학에서 생활산업 전공자들에게 창업 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민간금융을 연계해 사업화를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6일 서울 연희동 연남장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그간 보호의 대상으로만 여겼던 소상공인을 육성의 관점으로 보고 기업형으로 키우겠다는 것이 이번 대책의 뼈대다. 특히 장시간 개발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기술 창업에 비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정책적 연계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판단 역시 이번 대책을 내놓은 배경으로 해석된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소상공인은 보호가 아닌 기업의 씨앗”이라며 “충분히 육성의 대상이 될수 있고 글로벌 성장 사다리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장관의 말처럼 실제 이날 발표된 대책 대부분은 스타트업 육성 정책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스타트업 지원 대책처럼 소상공인 역시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기업형으로 성장시킨다는 포석이 깔린 것이다.
우선 정부는 기업가형 소상공인을 브랜드화한다. 기존의 소상공인이라는 이름 대신 ‘라이콘’이라는 새 명칭을 붙여 기업형 이미지로 탈바꿈 시켰다. 생활문화 분야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라이프·로컬에서 혁신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창조하는 유니콘 기업(Lifestyle & Local Innovation Unicorn)을 지향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인재 양성도 적극 나선다. 대학생 창업과 2030 소상공인이 늘어난다는 점을 감안했다. 이에 지역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있거나 콘텐츠 개발 역량이 우수한 지역대학을 ‘생활 분야 창의인재 양성대학’으로 지정해 운영한다. 올해 7곳을 지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생활산업 전공자는 복수전공이나 부전공 등으로 ‘크리에이터 의무 과정’을 도입한다.
성장단계별 지원 방안도 대책에 포함됐다. 창의적 아이디어에 구체적 실행방안을 덧붙이는 피칭대회를 매달 개최하고 선별되면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또 본격적으로 사업화에 나설 수 있도록 민간금융과 연계하기로 했다. 이에 투자자는 수익을 현금과 현물로 돌려받고, 소상공인은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는 새로운 투자모델인 ‘우리동네 펀딩’을 도입한다. 민간투자자가 기업가형 소상공인에게 선투자하면 최대 5배까지 정책자금을 매칭해 지원하는 방안도 시행한다.
스케일업과 관련해선 민간에서 주도할 수 있도록 ‘상권기획자’ 제도를 신설하기로 했다. 기존 상권을 재구성하고 소상공인 보육 등과 관련해 전문적으로 기획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상권법 개정에 나설 계획이다. 기업가형 소상공인상가건물 등 지역상권 발전에 자금을 공급하는 ‘상권투자펀드’ 및 ‘상권발전기금’ 등도 도입할 예정이다. 이 장관은 “생활 로컬 분야의 기업가형 소상공인을 새롭게 육성해 지역을 살리고 세계로 뻗어나가는 브랜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