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김남국 사태 후폭풍 "P2E 업체와 게임 업계는 분류돼야"

한국게임학회, 위믹스발 코인게이트 토론회

위정현 "구체적 입법 로비는 검찰 통해 밝혀질 것"

한국게임학회가 주최한 '위믹스발 코인게이트' 토론회. 강도림 기자한국게임학회가 주최한 '위믹스발 코인게이트' 토론회. 강도림 기자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 사태가 플레이 투 언(Play to Earn·P2E) 게임 시장으로 번지는 가운데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이 “국회의원과 보좌진에 대한 코인 보유 여부 전수 조사뿐 아니라 위메이드(112040) 등 코인 발행사에 대한 검찰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19일 한국게임학회는 ‘위믹스발 코인게이트, 원인과 대안을 모색한다’라는 주제로 서울 영등포구 이룸센터에서 긴급토론회를 개최했다.



위 학회장은 “P2E 업계의 입법 로비가 이번 사태의 본질”이라며 정치권의 '위믹스 이익공동체' 형성을 제기했다. 그는 “P2E 업체들은 돈을 벌기 위해 게임을 이용하는 것일뿐 게임의 발전을 도모하는 게 아니다"라며 “P2E 업체와 게임 업계는 반드시 분류되어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이어 본인을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소한 위메이드에 대해 강한 비판을 이어가며 “위믹스가 스스로 김치코인임을 인정했다”고도 주장했다. “위메이드가 발행한 위믹스 3.0 백서를 보면 미국 등에서 토큰을 제공하는 의도가 아니다’라는 부분이 있다”며 “미국에서는 투자계약증권으로 가상자산거래소 판매 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제소하는 등 위험이 커서 미국에서 판매할 의도가 없다 표현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게임학회가 주최한 '위믹스발 코인게이트' 토론회에서 위정현 학회장이 발표하고 있다. 강도림 기자한국게임학회가 주최한 '위믹스발 코인게이트' 토론회에서 위정현 학회장이 발표하고 있다. 강도림 기자


위 학회장은 위메이드에 대해 "페이스북에서 입법로비 이야기를 하며 위메이드라는 기업명을 적시한 하태경 의원은 왜 고소하지 않느냐"며 “거래소뿐 아니라 위메이드 등 코인 발행사를 검찰이 수사해야 하고 혼탁한 코인 시장에 대한 정비와 정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P2E 업계의 입법 로비에 대한 구체적 근거에 대해서는 “실제로 주변에서 봤다는 증언이 쏟아지고 있다”며 “검찰 조사를 통해 명명백백하게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가상자산 커뮤니티 '변창호 코인사관학교' 운영자 변창호 대표는 온라인으로 토론에 참여해 “위메이드의 로비 의혹을 밝혀내기에 압수수색보다는 위믹스 원래 데이터에 어떤 활동을 했는지 증거들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도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