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수산물 수출 활성화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굴·전복 등 일부 수산물을 '수출 전략품목'으로 키우겠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해당 수산물을 집중 육성해 2027년 품목별 수출액을 1억 달러까지 늘리겠다는 구상입니다.
수산물 수출액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해수부에 따르면 수산물 수출은 2018년 23억 8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31억 5000만 달러로 최근 5년새 약 32.4% 증가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수출액(31억 5000만 달러)은 역대 최대 규모였습니다.
하지만 정부 야심은 더 큽니다. 정부는 이번 전략을 발표하며 2027년까지 수산 식품 수출 45억 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내놨습니다. 기존 최대 규모였던 지난해 수출액(31억 5000만 달러)보다 약 43% 많습니다. 이에 송상근 해양수산부 차관은 지난 17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수산식품 산업이 수출산업으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전략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습니다.
해수부는 연간 수출액이 1억 달러가 넘는 수산물 '스타 품목'을 2027년까지 5개로 늘리겠다는 입장입니다. 현재 스타 품목은 김·참치 등 2개에 불과합니다. 여기에 굴·전복·넙치 등 3개를 추가하겠다는 것입니다. 송 차관은 "수산물 수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려면 주력 품목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스타 품목을 육성하기 위한 구체적 방향성도 제시했습니다. 굴의 경우 중국과 유럽연합(EU) 수출을 목표로 부가가치가 높은 개체굴 양식을 지원하는 식입니다. 외식용 냉동굴 소비가 활발한 일본·태국 기업 간 거래(B2B) 시장도 적극 공략합니다. 전복은 대만·베트남(선물 및 외식용 활전복), 홍콩·태국·싱가포르(가공품) 등 국가별 수요에 맞춰 해외시장을 공략하기로 했습니다. 넙치는 EU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등 신시장 진출을 목표로 필릿, 가정간편식(HMR) 등 다양한 제품군을 개발하고 식품 인증을 지원합니다.
문제는 당장 올 하반기부터 정부 스텝이 꼬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일본 정부가 이르면 올 7월부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방류할 계획이기 때문입니다. 오염수 방류 시 일본산 수산물은 물론 인접국인 한국산 수산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확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수부 관계자도 “(오염수 방류 시) 수산물 수출 감소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털어놓았습니다.
당장 내수 시장만 놓고 봐도 국내 수산물 소비는 오염수 방류 직후 40~50% 가까이 급감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제주연구원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8명(83.4%)은 오염수 방류 시 수산물 소비를 줄이겠다고 했습니다. 소비를 줄일 경우 평균 감소 폭은 46.7%로 분석됐습니다.
일각에서 정부가 수산물 수출 전략을 마련한 배경 중 하나로 오염수 방류를 꼽는 이유입니다. 오염수가 방류되면 어업인 소득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수출을 극대화해 이를 보전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입니다. 단 해수부 측은 “수산물 수출 전략은 오염수 방류와 무관하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정부가 굴·전복 등 수산물까지 수출 전략 최전선에 내세운 것은 그만큼 대내외 경기 여건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됩니다. 한국 경제 버팀목인 수출은 이미 지난해 10월부터 올 4월까지 7개월 연속 역성장하고 있다. 올 들어 이달 10일까지 쌓인 무역적자(294억 1200만 달러)는 이미 300억 달러에 육박했습니다. 연간 기준 역대 최대 규모였던 지난해 전체 무역적자(478억 달러)의 60%가 넘습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무디스는 지난 19일 발표한 연례 신용분석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1.5%로 제시했습니다. 지난 3월 제시한 기존 전망치(1.6%)보다 0.1%포인트 낮은 수치입니다. 무디스는 "반도체 경기 둔화와 통화 긴축, 부동산 시장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고령화와 노동시장 이중구조 등도 잠재성장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라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