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임금 1억’ 車 노조 또 과도한 요구, 글로벌 경쟁력 확보할 수 있나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25일 올해 임금 협약 교섭에서 기본급 인상 폭으로 월 18만 4900원을 제시하기로 했다. 지난해 역대 최대 인상액(월 10만 8000원)의 두 배에 가까운 규모다. 노조는 현재 60세인 정년을 64세까지 연장하는 안과 순이익의 30%에 달하는 성과급 지급을 요구할 방침이다. 현대차의 지난해 순이익(7조 9836억 원)의 30%를 전체 직원 수(7만여 명)로 나누면 성과급 규모는 3000만 원가량에 이른다. 미래차 투자 확대를 위한 재원 확보가 절실한 상황에서 이기주의에 빠진 노조가 자신들의 이익을 먼저 챙기려는 것이다.



현대차 국내 공장의 생산성은 미국 공장에 비해 한참 뒤처졌다. 울산 공장의 생산성 지표인 시간당 차량생산대수는 평균 45대로 미국 앨라배마 공장(68대)의 3분의 2 수준에 불과하다. 인력 운용의 효율성 지표인 편성효율도 울산 공장은 50%로 앨라배마 공장(90%)에 한참 못 미친다. 글로벌 생산량의 25%를 차지하는 울산 공장에서 노조원의 절반은 놀고 절반만 일하고 있어 효율성 개선이 시급하다. 반면 해외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은 전기차 투자 확대를 위한 경영 효율화를 위해 구조 조정 속도를 높이고 있다. 지난해 3000명을 감원한 포드는 올해부터 3년 동안 유럽에서 3800명을 추가 감원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혼다자동차는 이미 내연기관차사업부에서 조기 퇴직을 시행해 2000여 명을 줄였다.

관련기사



전 세계에서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는 가운데 전기차 판매 상위 10개사 중 현대차그룹만 판매량 감소를 기록했다. 그런데도 현대차는 1인당 평균 임금이 1억 500만 원에 달해 ‘신의 직장’으로 불린다. 최근 진행한 400명 규모의 생산직 채용에 18만 명이 지원한 것으로 추산되는 것도 근무 강도 대비 매우 높은 임금 때문이다. 세계 자동차 산업 구조가 급격히 재편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기득권 노조의 과도한 임금 인상 요구는 현대차의 미래 경쟁력을 잃게 할 수 있다. 이는 차량 판매 하락과 일자리 감소로 이어져 그 피해를 노조원이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 노사 상생 방안을 도출하려면 먼저 노조의 태도가 바뀌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