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반도체 경기 회복 시점이 중국의 스마트폰 수요와 미국 내 데이터센터 투자 여부에 달렸다는 한국은행 진단이 나왔다. 한은은 하반기부터 반도체 경기가 되살아난다고 보고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1.4%로 하향 조정하면서도 ‘상고하저’가 가능하다는 기대를 바꾸지 않았다.
29일 한은 조사국이 발표한 ‘우리나라 반도체 수요구조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은 글로벌 스마트폰 수요(44%)에 가장 큰 영향을 받고 그다음 서버(20.6%)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반도체 수출이 대만이나 일본보다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은 글로벌 정보통신(IT) 경기 순환 요인 이외에도 산업 구조적인 특징도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 메모리 반도체 수출은 데이터센터 투자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수요 중심이 개인용 컴퓨터(PC)에서 모바일, 서버 순으로 변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수출에서의 서버용 비중이 점차 높아졌기 때문이다. 반도체 수출의 44%를 차지하는 비메모리 반도체는 주로 이미지센서, 모바일 AP 등 스마트폰 경기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제품들로 구성돼 있다.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실적 악화로 데이터센터 투자를 축소하면서 메모리 반도체가, 팬데믹 이후 늘었던 스마트폰 판매가 부진하면서 비메모리 반도체가 각각 영향을 받고 있다는 진단이다.
국내 반도체 수요 구조와 나라별 수요 여건을 살펴보면 국내 반도체 경기는 중국 스마트폰 소비와 미국 데이터센터 투자 회복 여부에 영향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다. 미국 스마트폰 소비는 팬데믹 기간 중 크게 늘어난 데다 고금리 영향으로 크게 확대되기 어렵지만 중국은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 이후 시차를 두고 점차 회복해 국내 반도체 경기 부진을 완화하는 요인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미국 데이터센터 투자도 향후 디지털 전환, 인공지능(AI) 서비스 확대 등으로 고성능 서버를 중심으로 완만히 늘어날 것으로 봤다.
한은은 국내 반도체 경기 변동성이 높은 것은 메모리 반도체 비중이 높은 데다 비메모리 반도체도 경쟁국보다 모바일 의존도가 큰 영향으로 풀이했다. 가격 변동성이 작은 비메모리 반돛 분야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성숙기에 접어든 모바일이나 수요 과점 위험이 큰 서버 중심에서 벗어나 자동차, AI 등으로 다변화해야 한다고 했다.
한은 관계자는 “국내 반도체 수요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어 이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도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