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31일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남쪽방향으로 발사하면서 서울시에 발령된 경계경보는 ‘오발령’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런데 오발송과 별개로 경계경보 발령을 알린 문자가 실제 발령 시각보다 9분이나 늦게 발송됐고, 문자에는 대피 이유와 방법 등이 담기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6시 41분 위급재난문자를 통해 “오늘 (오전) 6시 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이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전했다.
경계경보는 적의 지상공격 및 침투가 예상되거나 적의 항공기나 유도탄에 의한 공격이 예상될 때 발령되는 경보다.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발사한 시점은 오전 6시 32분이었는데, 시는 9분이나 늦은 시각에 문자를 보냈다. 만약 해당 발사체가 서울 상공에 떨어졌다면 떨어진 이후에 긴급대피 문자를 발송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심지어 이번 오발령은 일본보다 더 늦게 발령한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은 서울시보다 7분 앞선 6시 34분에 오키나와현 주민을 대상으로 긴급대피 명령을 내렸다.
서울시의 경계경보 발령은 22분 뒤 행정안전부에 의해 오발령으로 정정됐다. 행안부는 7시 3분 “(오전) 6시 41분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림”이라는 정정 문자를 발송했다.
출근을 해야 하는지, 대피를 해야 하는지 발만 동동 구르던 시민들은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그러면서 재난문자가 경계경보 발령 시각보다 9분 늦은 점, 문자에 발령 이유와 대피 방법이 빠졌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질타했다.
서울시는 오발령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적극 반박하면서도 아직 문자 발송이 늦어진 경위에 대해서는 따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시는 이날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6시 30분 행안부 중앙통제소에서 ‘현재 시각, 백령면 대청면에 실제 경계경보 발령. 경보 미수신 지역은 자체적으로 실제 경계경보를 발령’이라는 내용의 지령방송을 수신했다”며 “상황이 정확히 파악되기 전에는 우선 경계경보를 발령하고, 상황 확인 후 해제하는 것이 비상상황 시 당연한 절차”라고 설명했다.
한편 북한은 미국의 군사 활동을 감시하기 위해 오는 6월 11일 내로 정찰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힌 지 하루 만인 이날 군사정찰위성으로 추정되는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이날 오전 6시 29분께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으로 발사한 이른바 우주발사체 1발이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어청도는 전북 군산 서쪽으로 60여km에 위치한 섬이다. 군은 떨어진 발사체의 잔해를 수거해 성능, 기술 수준, 외국 부품 사용 여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북한 군사우주개발국 대변인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신형발동기 체계의 믿음성과 안정성이 떨어지고 사용된 연료의 특성이 불안정한 데 사고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해당 과학자, 기술자, 전문가들이 구체적인 원인해명에 착수한다”며 “위성 발사에서 나타난 엄중한 결함을 구체적으로 조사·해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기술적 대책을 시급히 강구하며 여러 가지 부분 시험들을 거쳐 가급적으로 빠른 기간 내에 제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