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31일 군사정찰위성을 남쪽 방향으로 발사하면서 서울 전역에 경계경보가 발령됐지만, ‘오발령’으로 끝나며 시민들이 아침부터 혼란을 겪었다. ‘오발송이었더라도 경계경보 위급재난문자가 휴전 상황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웠다’는 주장이 있는 한편 일각에선 ‘오보 남발이 안전불감증을 키운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6시 41분 위급재난문자를 통해 “오늘 (오전) 6시 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이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전했다. 경계경보는 적의 지상공격 및 침투가 예상되거나 적의 항공기나 유도탄에 의한 공격이 예상될 때 발령되는 경보다.
시의 경계경보 발령은 22분 뒤 행정안전부에 의해 오발령으로 정정됐다. 행안부는 7시 3분 “(오전) 6시 41분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림”이라는 정정 문자를 발송했다. 이후 시는 중앙통제소 지령 방송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지령받은 후 행안부 중앙통제소에 확인을 시도했으나, 연결이 되지 않았으며 비상 상황인 만큼 선제적으로 경계경보를 내리는 것이 우선이라고 판단했다는 입장이다.
이에 일부 공무원들은 이날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서울시를 옹호하는 글을 올렸다. 한 공무원은 “공무원으로서 이번 재난 문자는 정상적이다. 휴전국인데 한 번씩 경각심을 일깨워줘야지”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공무원도 “(발사체가) 발사되면 공습경보 넣는 게 무조건 맞고, 오발령이더라도 무조건 대피하도록 알리는 게 맞다”며 “‘이걸 발령해, 말아’ 망설이다가 다 죽는 수가 있다”고 했다.
이외에도 “미사일이 어디로 향하는지, 그 안에 뭐가 들었는지 모르는 상황에서 경보 문자 보낸 건 잘했다고 생각한다”, “미사일인지 100% 확인한 다음에 ‘도망가세요’ 할 땐 이미 늦은 것”, “오발령이라고 해도 안보 기강 잡는 역할은 톡톡히 했다. 우리나라는 아직 전쟁 중”, “오발령인 게 뭐가 잘못? 북한이 미사일 쏘는데 공습이든 경계든 뭐라도 문자 보내는 게 맞는 거 아닌가” 등 오발령은 잘못이 아니라는 반응이 잇달아 올라왔다.
반면 일각에서는 재난문자 오발령 사태가 안전불감증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직장인은 “이러다 실제 전쟁나면 사람들이 오발령으로 착각해서 큰일 날까봐 걱정된다. 이런 재난 문자 한번 잘못 보내는 것도 엄청난 실수”라고 꼬집었다.
다른 누리꾼들도 “아무때나 (재난 알림이) 울리면 실제로 전쟁날 때 국민들이 대피를 하겠느냐”, “경보 보내는 건 좋은데 적어도 무슨 상황인지는 알려줘야 하는 것 아니냐. 미사일 공격인지 지상 공격인지에 따라 행동요령도 다르지 않겠느냐”며 비판했다.
한편 국민재난안전포털 민방공 경보(경계·공습) 시 국민 행동 요령에 따르면, 경계경보 발령 시 주간에는 즉시 대피할 준비를 하고 어린이와 노약자를 먼저 대피시킨 후 지하대피소로 이동해야 한다. 근처 대피소 위치는 행정안전부의 ‘안전 디딤돌’ 앱과 국민 안전 재난 포털에서 확인가능하다.
대피할 때는 화생방 공격에 대비해 방독면 같은 보호장비를 착용하는 게 좋다. 화재 예방을 위해 유류와 가스를 안전한 장소로 옮기고 전열기 코드를 뽑아야 한다.
야간에는 실내외 전등을 모두 끄고 대피한다. 응급실과 중요시설 등 불을 켜야 하는 곳에서는 차광막을 쳐 빛이 새어 나가지 않게 한다. 차를 운행 중인 운전자도 도로 우측에 정차해 전조등, 미등, 실내등을 끈 다음 승객을 대피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