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반도체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내고 있고 기술에 능통한 인력을 보유했기 때문에 첨단바이오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수브라 수레시 휴렛팩커드(HP) 이사회 의장은 31일 ‘보건의료·경제·안보의 핵심, 첨단바이오 시대를 열자’를 주제로 서울 광장동 그랜드&비스타워커힐호텔에서 개막한 ‘서울포럼 2023’ 기조 강연에서 한국이 첨단바이오 부문에서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며 이같이 밝혔다.
수레시 의장은 디지털 강국인 한국이 4차 산업혁명에서 앞선 만큼 바이오 분야에서도 글로벌 리더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한국이 첨단바이오에서 강점을 가지려면 인공지능(AI)·생화학·빅데이터·블록체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협력할 수 있는 혁신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레시 의장은 특히 첨단바이오·헬스케어 분야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기술들에 주목했다. 차세대 유전체학, 인공지능(AI), GPT,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등 시장을 뒤흔들 ‘파괴적 기술’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미다.
아시아인 최초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학장을 맡기도 한 수레시 의장은 싱가포르 난양공대 총장으로 자리를 옮겨 공학·의학·인문학·기초과학 간 융합 연구에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두 번째 기조연설에 나선 제프리 글렌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도 “한국이 코로나19 팬데믹 때 백신·치료제 분야에서 후발주자였지만 우수한 과학기술을 활용하면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감염자 추적, 마스크 착용 등 방역 조치에는 성공했으나 자체 백신·치료제 개발이 늦어 적극 활용하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글렌 교수는 “미래에 발생할 또 다른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첨단바이오에 대한 지원을 이어가야 한다”며 “특히 의료·공학 분야와 정보통신기술(ICT) 간 협력적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축사에서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로 꼽은 ‘첨단바이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재차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미국 국빈 방문 당시 찾은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를 언급하며 “우리도 대학·병원·기업 등이 어우러져 기술 개발부터 경영·재무·법률 컨설팅·투자 등이 한곳에서 제공되는 완결된 바이오클러스터를 만들어 집중 지원할 것”이라며 “첨단바이오 기술이 첨단바이오 산업, 바이오 경제로 이어져 성장하는 체인리액션(연쇄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