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KAIST 김정 교수팀, 국제 로봇·자동화 분야 최우수 논문상 수상

국제 로봇·자동화 분야 세계적 권위 저널 ‘IEEE RA-L’ 2022년 출판 논문중 최우수 선정

KAIST 기계공학과 김정 교수KAIST 기계공학과 김정 교수




KAIST 기계공학과 정화영 박사과정KAIST 기계공학과 정화영 박사과정


KAIST 기계공학과 풍제유(Jirou Feng) 박사과정KAIST 기계공학과 풍제유(Jirou Feng) 박사과정


KAIST는 기계공학과 생체기계연구실(지도교수 김정) 정화영, 풍 제유(Jirou Feng) 박사과정이 2022년 IEEE 국제 로봇/자동화 저널(RA-L·Robotics and Automation Letter) 최우수 논문상(Best paper award)을 수상했다고 2일 밝혔다.



최우수 논문상은 지난 1일 영국 런던에서 주최된 국제 로봇자동화학회(ICRA2023·The 202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에서 수여됐다.

ICRA는 매년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로봇 학회이며 RA-L은 최고 수준의 국제 로봇 학회들과 연계해 엄선된 논문을 출판하는 저널이다.

김정 교수 연구팀의 논문은 2022년 한해간 RA-L(Robotics and Automation Letter)에 출간된 1100개 이상의 논문중 편집자 위원회(Editorior board)에서 선정된 최우수 논문 5개중 한 편으로 선정돼 상패와 함께 상금을 받았다.

근전도 센서는 인간의 근육 활성도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인간-기계 상호작용을 위한 착용형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근육 진단과 평가를 위해 의료계나 연구계서 국한된 환경에서만 사용돼왔으나 건강 모니터링이나 의수, 의족 등 더욱 일반적인 분야로 사용이 확장되고 있다.



이런 일상에서의 장시간 활용을 위해서는 사람이 착용하고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일상에서의 움직임이나 변화가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센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상용 센서의 경우 단단한 소재로 제작되어 착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땀 발생에 취약한 성향을 보인다. 피부와 전극 사이에 전도성을 가진 땀 층이 생길 경우 전기적 단락이 발생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센서가 미끄러질 가능성도 커져 결과적인 신호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일반 사용자가 신호 수집이 필요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전극을 위치 시키는 것도 어렵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땀을 흡수하면서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최소화한 천 기반의 대면적 센서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착용자에 맞춤형으로 디자인하여 제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센서 디자인부터 실제 사용하여 의도를 인식해내는 방법까지 전체적인 솔루션을 제공하였다.

기존에 천 전극 센서들이 많이 제시되어 왔지만 사용자 맞춤형,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제시에는 부족한 점이 많아 실제 활용 가능성이 불투명하였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으로 디자인 된 패턴을 레이저 커팅을 통해 그대로 구현해낼 수 있는 2.5D 레이저 커팅 기반의 제작 방식을 소개해 사용자 맞춤형으로 쉽게 디자인을 변경하고 제작해낼 수 있도록 하였다. 2.5D 레이저 커팅의 경우 레이저의 세기를 조절해 레이저가 잘라내는 깊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원하는 패턴 형성을 가능케 한다.

또한 전극 부분에 전도성 다공체를 활용함으로써, 전도성을 띠는 땀을 흡수하여 전해액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 땀이 발생하더라도 센서 성능 및 동작 분류 정확도에 변화가 거의 없도록 했다. 그 결과 땀이 발생하는 운동 전후로도 유사한 신호 개형을 획득할 수 있었고 땀의 여부와 관계없이 높은 동작 분류 정확도를 달성했다.

연구진은 이번 기술이 전극 크기와 개수에 상관없이 정밀하게 사용자 맞춤형으로 입는 형태의 센서를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일상에서 사람의 의도 파악을 필요로 하는 응용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예를 들면 의수, 의족의 경우 장시간 착용을 필요로 하는데 착용자에게 센서로 생기는 부담은 최소화하면서도 사람의 움직임과 가장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근육 신호 센서 사용을 통해 의수, 의족의 더욱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가능케 해줄 수 있다.

김 교수는 “서비스 로봇을 위한 웨어러블 센서는 사람의 부착하는 부위의 형상에 맞게 가공하는 것이 산업화의 마지막 고비인데, 학생 연구원들이 좋은 아이디어를 내고 포기하지 않고 어려움을 극복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좋은 결과를 냈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상을 통해 자부심을 가지고 더욱 큰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마중물이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