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침에 유독 두통 심하다면…'이 병' 의심해봐야 [건강 팁]

■황기환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뇌압 상승 원인…진통제 효과 없어

청력·시력 감퇴 등 감각장애 동반

뇌하수체 등 특정부위 집중 발생

악성·양성 불문 '제거 수술' 필수

뇌종양의 세부 유형. 전체 뇌종양의 65%는 뇌수막, 신경교세포, 뇌하수체에 발생한다. 사진 제공=분당서울대병원뇌종양의 세부 유형. 전체 뇌종양의 65%는 뇌수막, 신경교세포, 뇌하수체에 발생한다. 사진 제공=분당서울대병원





두통은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겪는 흔한 증상이다.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가라앉는 경우가 많지만 약을 먹어도 해결되지 않거나 유독 아침에 증상이 심하면 뇌종양이 원인일 수 있다. 뇌종양은 두개골 안에 생기는 모든 종양을 지칭한다. 뇌종양이 생겼을 때 두통이 발생하는 원인은 뇌압 상승과 관련이 있다. 뇌종양으로 인한 두통과 일반적인 두통의 가장 큰 차이는 새벽이나 아침에 통증이 더 극심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스트레스성 편두통은 대개 아침에는 괜찮다가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의 요인이 생겼을 때 더 심해진다. 반면 뇌종양으로 인한 두통은 장시간 누워있는 새벽이나 아침에 심하게 나타나고 활동을 하다 보면 오히려 나아지는 경우가 많다. 약으로 통증이 해결되지 않는 것도 뇌종양으로 인한 두통의 특징이다. 타이레놀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진통제를 복용해도 효과가 없어 복용 용량을 점점 늘려야 하거나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또는 마약성 진통제까지 사용해야 두통이 완화된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두통과 함께 동반되는 증상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뇌종양으로 인한 두통일 경우 종양 발생 위치에 따라 청력이나 시력이 감퇴되는 감각장애, 위약감이 들거나 균형 이상이 오는 운동장애, 기억력 저하, 경련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관련기사



뇌종양은 악성, 양성 여부와 함께 종양이 생긴 부위에 따라 치료 난이도와 경과가 달라진다. 단, 모든 환자는 반드시 수술을 받아야 한다. 종양 발생 부위가 뇌인 만큼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위치나 크기에 따라 수술 후 항암, 방사선 또는 추가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안타깝게도 뇌종양은 아직까지 직접적인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탓에 예방법도 마땅치 않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뇌 컴퓨터 단층촬영(CT) 검사를 받기 보다는 의심 소견이 있을 때 지체없이 병원을 찾는 것이 권장된다.

황기환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사진 제공=분당서울대병원황기환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사진 제공=분당서울대병원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