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반도체·배터리 등 우리 주력 산업의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정밀화학 강국인 일본과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2019년 일본의 수출 규제가 반도체 포토레지스트 등 정밀화학의 핵심 소재 분야에서 이뤄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일 관계 악화로 타격을 입었던 비즈니스에서 실질적인 협력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최근 우리의 대중(對中) 소재 수입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우리 기술력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달 14일 서울에서 한일이 정밀화학 기술을 공동 연구하기로 선언하는 발족식을 연다. 양국 학계가 첨단산업 소재 분야에서 장기적으로 공동 연구할 사업을 발굴하는 것이 이번 행사의 목적이다.
정부는 이번 발족식을 통해 우리 산업구조에서 상대적 약점으로 거론되는 소재·부품·장비 생태계와 경쟁력이 보완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우리 기업은 반도체·배터리 등 제조에 강점이 있는 반면 일본은 이를 뒷받침하는 소부장 산업을 선도하는 국가이기 때문이다. 일본의 수출 규제 당시 우리 정부는 이른바 소부장 독립을 추진했지만 소부장 자립화율은 30% 수준(지난해 기준)에 불과하다. 초기 발전 단계인 우리 소부장 기업과 달리 삼성전자(005930)·SK하이닉스(000660)의 주요 구매처인 스미토모·신에쓰 등은 모두 100년 가까운 업력을 자랑한다. 삼성전자도 최근 일본의 반도체 소부장 후공정 역량을 활용하기 위해 일본 요코하마에 3000억 원 규모의 첨단 반도체 개발 거점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정밀화학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먹거리 산업이 장기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국내 소재 산업의 발전이 필수적”이라며 “선도국인 일본과 손을 잡으면 우리 역량도 크게 강화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