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하버드서 진행된 CIA 실험…'폭탄테러범' 카진스키 만들었나

'유나바머' 테러범 테드 카진스키/ AP연합뉴스'유나바머' 테러범 테드 카진스키/ AP연합뉴스




지난 10일 감옥에서 숨진 미국의 폭탄 테러범 테드 카진스키는 천재 소년에서 테러리스트로, 촉망받는 수학도에서 학자와 과학자, 산업화 사회 전체를 겨냥하는 공포의 가해자 ‘유나바머’(Unabomber)로 변했습니다.



카진스키는 6학과 11학년을 건너뛰고 16살에 하버드에 입학했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하버드대 교수였던 헨리 머레이가 중앙정보국(CIA) 지원을 받아 진행한 실험에 참여했습니다.

그는 수학 전공으로 졸업하고 교수가 되기 전에 그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마쳤지만. 그가 머레이의 실험에서 영향을 받았는지는 의문으로 남아있습니다. 그 실험은 참가자들의 믿음을 가혹하게 폄하하는 방식이 포함되었다고 합니다.

머레이의 연구는 ‘MK-울트라’라는 코드명의 CIA 프로그램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한국 전쟁 당시 소련, 중국, 북한군이 미군 포로를 상대로 썼던 ‘마인드 콘트롤’ 방식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CIA가 2018년 공개적으로 공개한 문서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때때로 LSD와 같은 마약류를 사용해 피험자의 마음을 제어하려 했습니다. 당시 문서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냉전 시간 소련 스파이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심문하기 위한 ‘진실의 약’을 생산하기 위해 진행됐다고 합니다.



리처드 헬름스 CIA 국장은 1973년 ‘MK-울트라’와 관련된 많은 파일들을 파괴하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진스키는 나중에 유나바머에 관한 책을 쓴 알스톤 체이스 교수와 감옥에서 서신을 주고 받으며 그 프로젝트에 자신이 분명히 참여했음을 밝혔습니다.

관련기사



체이스 교수는 2000년 6월 아틀란틱 매거진에 쓴 글에서 머레이의 실험에 참여했던 3년 간의 하버드에서의 경험이 카진스키를 유나바머로 만드는 데 일조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하버드에서의 경험이 카진스키의 분노를 형성하고, 그의 분노를 정당화했다”면서 “그가 졸업했을 무렵, 그를 유나바머로 만들기 위한 모든 요소들이 자리를 잡았다”고 적었습니다. 그는 당시 머레이의 연구가 언어 폭력 등으로 점철된 모의 심문으로 참가자들을 몰아 넣었다고 했습니다.

'유나바머' 테러범 테드 카진스키/AP연합뉴스'유나바머' 테러범 테드 카진스키/AP연합뉴스


카진스키의 테러 행위와 이 프로젝트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 프로젝트가 그의 정신 분열증을 더욱 악화시켰을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심리학자 나이젤 바버는 “하버드에서의 경험은 (카진스키에게) 굉장한 스트레스였고, 고강도 스트레스는 정신 분열증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카진스키는 미국 대학과 항공사 등의 고위 인사 수십명에게 소포로 사제폭탄을 보내 3명을 숨지게 하고, 23명에게 중상을 입힌 희대의 테러범입니다. ‘유나바머’는 대학을 뜻하는 영어 단어 앞글자 ‘Un’과 항공사를 뜻하는 단어의 앞글자 ‘a,’ 그리고 폭탄제조자 ‘Bomber’를 섞어 만든 FBI의 코드네임입니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