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목욕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여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지난 4월에는 찜질방 이용료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를 찍었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목욕료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3.59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14.1% 상승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8년 12월(14.2%) 이후 14년 5개월 만에 최고치다.
목욕료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5월만 해도 7.4%였지만, 그동안 꾸준히 올라 올해 1월 11.7%에서 4월 13.7%로 상승한 데 이어 지난달 14% 선을 넘었다.
찜질방 이용료의 지난달 물가 상승률은 12.4%로 역대 3번째로 높았다.
이들 업종은 전기·가스 등 연료비 부담이 큰 소상공인 업종이다. 전기·가스요금 인상으로 이용요금이 올랐고, 결국 소비자 부담이 커지는 상황이다. 실제 서울 종로구의 한 목욕탕 업주는 지난달 450만 원 대였던 난방비가 650만 원으로 올랐다며 불가피하게 요금을 인상하게됐다고 전했다.
목욕탕과 찜질방은 평소 손님이 없어도 탕과 샤워실을 따뜻하게 데워둬야하기 때문에 전기·가스요금 인상으로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이같이 전기·가스 요금 인상으로 부담이 가중되다 보니 소상공인 단체들은 에너지 취약계층에 소상공인을 포함해 에너지 지원을 법제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에 건의했지만 정부는 예산 문제로 난색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