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005380)그룹이 해외 자회사의 소득을 국내로 들여오는 ‘자본 리쇼어링’으로 7조 8000억 원을 마련해 국내 전기차 투자를 확대한다. 경영 실적 호조로 유동성이 풍부한 해외 법인의 자금을 활용해 울산·화성·광명 등 전기차 생산 시설 전환 투자에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북미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막대한 자금을 쏟아 붓고 있는 현대차그룹은 이번 자본 리쇼어링으로 자금 운용에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법인세 개편 효과…해외법인 배당금으로 7.8조 조달
현대차그룹은 주요 계열사 해외 법인의 올해 본사 배당액을 직전 연도 대비 4.6배 늘려 국내로 59억 달러(약 7조 8000억 원)를 들여와 이를 국내 전기차 투자 재원으로 사용한다고 13일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현대차가 해외 법인으로부터 21억 달러(약 2조 8100억 원), 기아(000270)는 33억 달러(약 4조 4300억 원), 현대모비스(012330)는 2억 달러(약 2500억 원) 등을 국내로 들여온다. 전체 배당금의 79%는 상반기 내 본사로 송금돼 국내 전기차 분야 투자 등에 본격적으로 집행된다. 나머지 21%도 올해 안으로 국내로 유입된다.
현대차그룹은 해외 유보금을 대거 들여올 수 있는 배경으로 올해부터 시행된 법인세법 개정을 꼽았다. 지난해까지는 해외 자회사의 잉여금이 국내로 배당되면 해외와 국내에서 모두 과세된 뒤 일정 한도 내에서만 외국 납부세액이 공제됐다. 하지만 올해부터 해외에서 먼저 과세된 배당금은 국내에서 5% 미만으로 과세되고 나머지 95%는 공제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법인세 개정으로 국내로 배당할 수 있는 환경이 용이해졌다”면서 “국내 차입을 줄일 수 있어 재무구조도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울산·광명·화성 등 국내 전기차 생산시설 전환 투자
이번 배당금은 현대차의 울산 전기차 전용 공장과 기아 오토랜드 화성의 고객 맞춤형 전기차(PBV) 전용 공장 신설, 기아 오토랜드광명 전기차 전용 라인 전환 등 국내 전기차 생산능력 확대에 주로 투입될 예정이다.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 및 제품 라인업 확대, 핵심 부품 및 선행기술 개발, 연구시설 구축 등 연구개발 투자에도 활용된다.
이번 자금 조달로 국내 전기차 분야에 2030년까지 24조원을 투자하기로 한 현대차그룹의 계획도 순항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그룹은 대규모 국내 투자로 전기차 산업 고도화 등 글로벌 미래 자동차산업 혁신 허브 역할을 강화해 국내 전기차 연간 생산량을 2030년 151만대(수출 92만대)로 확대할 방침이다. 2030년에 총 31종의 전기차 라인업을 갖출 예정이다.
美 전기차 시장 막대한 자금 투자…자금 운용 ‘숨통’ 트여
현대차그룹은 현재 북미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전기차 신공장과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 등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 붓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현대차그룹이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해 밝힌 투자 규모는 148억4,000만달러(약20조원)에 이른다.
미국 전기차 시장 공략의 전진 기지가 될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공장(HMGMA) 건설에 55억4000만달러(약 7조1400억원), LG에너지솔루션·SK온 등과 합작해 짓는 배터리 공장 2곳에도 총 93억달러(약 12조원) 투자가 예정돼 있다.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 기아 조지아 공장의 내연기관 생산라인을 전기차 라인으로 전환하는데도 추가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내 상황도 비슷하다. 최근 세제당국이 전기차 공장 투자에도 최대 30%의 세액 공제 혜택을 줬지만 국내 전기차 인프라 확대의 상당 부분은 현대차그룹이 책임져야 하는 실정이다. 르노코리아와 제너럴모터스(GM), KG모빌리티(003620) 등 국내에 생산공장을 보유한 완성차 업체들의 경우 내연기관 차량의 판매를 유지하기에도 벅차기 때문이다.
돈을 많이 벌어도 쓸 곳이 많다보니 그룹의 곳간도 크게 불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등 주요 계열사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021년 28조4853억원에서 지난해 36조5071억원으로 28.1% 늘었지만 올해는 3월말 기준 41조732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4.3%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런 상황에서 해외법인의 배당액을 조정해 마련한 7조8000억원의 투자 재원은 현대차그룹의 자금 운용에 숨통을 트여줄 전망이다. 차입도 그만큼 줄이게 돼 재무 건전성이 개선되는 효과도 있다. 해외 전기차 공장 투자와 비교해 국내 전기차 생산시설 투자 집행에 소극적인 것 아니냐는 일각의 비판 여론도 잠재우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