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자녀에게 증여 시 비과세 한도, 10년간 미성년 2000만·성년 5000만…최대로 증여하려면[도와줘요 부동산세금]

■박진호 법무법인(유) 율촌 조세부문 변호사


길동이는 이제 고등학교에 입학하게 된 만 15살 딸 영희에게 현금을 증여하려고 한다. 주위에 물어보니 미성년 자녀에게는 10년에 2000만 원까지 증여를 할 수 있다고 한다. 과거 영희에게 증여한 내용을 살펴보니 초등학교 입학할 때 1000만 원을 증여한 적 있다. 길동이가 이번에 증여세 없이 영희에게 증여할 수 있는 돈은 얼마일까?

성년 자녀 5000만, 미성년 자녀 2000만 원까지 증여 비과세


우리나라 세법은 증여받은 사람에게 증여세를 매긴다. 다만 증여받은 사람이 증여자의 자녀인 경우 자녀가 성년일 때는 5000만 원까지, 자녀가 미성년일 경우 2000만 원까지는 비과세로 증여할 수 있다. 그러면 미성년 자녀에게 어제 2000만 원, 오늘 2000만 원을 차례로 증여하면 모두 비과세가 될까? 세법은 4000만 원을 일시에 증여한 행위와 2000만 원씩 이틀간 두 번에 나누어 증여한 행위에 대해 같은 세금을 매기는 것이 공평하다고 보아 오늘 증여한 재산과 어제 증여한 재산을 합산하여 세금을 매긴다. 그렇다면 언제 증여한 것까지 합산할까? 세법은 10년간 증여한 걸 합하여 증여공제를 적용하도록 정해 두었다. 이것이 10년간 2000만 원까지 비과세로 증여할 수 있게 되는 이유다.



여기에서 ‘10년 동안 2000만 원 비과세’는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아야 비과세 한도를 계산을 할 수 있다. 혹자는 자녀가 1세부터 10세까지 2000만 원, 11세부터 20세까지 2000만 원까지 비과세로 증여할 수 있다고 이해하기도 한다. 이런 이해에 따르면, 서두에 언급한 사례에 관한 질문에 “길동이는 영희에게 2000만 원을 추가로 증여세 없이 증여할 수 있다”라고 답변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우리 세법은 ‘증여받은 때로부터 과거 10년간’의 증여내역을 통산하는 방식으로 계산한다. 영희가 2023년 현재 15세이므로 10년 전인 201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영희가 5세부터 현재까지 증여받은 내역을 모두 합산하여 2000만 원 넘게 증여받았는 지를 셈한다. 영희는 초등학교에 입학하던 2014년 3월 전후로 1000만 원을 증여받았다. 그렇다면 그 돈과 합산하여 2000만 원이 넘지 않는 1000만 원까지만 올해 비과세로 증여할 수 있다.

관련기사



최대한 많은 금액을 비과세로 증여하고 싶다면


길동이가 영희에게 계속해서 비과세로 최대한 많은 돈을 증여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일정으로 증여를 계획하면 된다. 먼저 2024년 4월에 영희에게 비과세로 1000만 원을 추로 증여한다. 이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10년을 통산할 때는 초등학교 입학 당시인 2014년 3월이 포함되지 않기에 올해 준 1000만 원과 합산하여 다시 2000만 원이 되는 금액까지 비과세 증여를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영희가 만 19세가 된 날 3000만 원을 추가로 증여세 없이 증여할 수 있게 된다. 만 19세가 되면 성년이 되므로, 영희는 만 19세가 된 생일 이후로는 10년 통산 5000만 원까지 비과세로 증여받을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만약 세법 개정으로 증여세 비과세 한도가 상향된다면, 개정된 세법을 살펴보아 추가로 비과세 증여를 언제 얼마나 할 수 있는지 따져보면 된다.

이상과 같이 자녀에게 여러 차례 나누어 증여할 때 비과세로 처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비과세 너머’를 고려해 봄직하다. 예컨대 상속세를 낮추기 위해 미리 부를 이전해야 한다거나 미리 종잣돈을 증여한 뒤 자녀가 부를 축적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낮은 세율구간의 증여세를 내더라도 비과세 한도인 2000만 원 혹은 5000만 원보다 많은 돈을 한 번에 증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박진호 법무법인(유) 율촌 조세부문 변호사박진호 법무법인(유) 율촌 조세부문 변호사




※[도와줘요 부동산세금]은 세무 전문가들이 부동산과 관련한 세금 이슈를 다루는 코너입니다. 이메일 문의(diver@sedaily.com)를 주시면 다수의 질문이 나오는 사례 중에 채택해 전문가들의 답변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