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스위스 국민투표서 기후법 도입 가결 유력…'2050년 넷제로' 명문화되나

예비 결과에서 58% 유권자가 도입 찬성

스위스 빙하학자들이 16일(현지시간) 스위스 발레주 곰스 지역에서 빙하를 관찰하고 있다. AP연합뉴스스위스 빙하학자들이 16일(현지시간) 스위스 발레주 곰스 지역에서 빙하를 관찰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스위스에서 2050년 '탄소 중립'(넷 제로)을 목표로 하는 기후법 도입에 유권자 과반이 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GFS베른 여론조사연구소와 스위스 공영방송 SRF는 사전 투표 및 이날 오전까지 진행된 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국민투표에서 58%의 유권자가 기후법 도입에 찬성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오차범위는 3%이며 정확한 결과는 이날 늦게 발표될 예정이다.

이날 국민투표에 부쳐진 기후법 초안은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이산화탄소의 실질 배출량이 0인 상태)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가 민관 재원으로 향후 10년간 약 30억 스위스프랑(33억 5700만 달러)의 예산을 책정해 사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앞서 기후세를 포함한 비슷한 내용의 법안이 2021년 국민투표 안건에 올랐지만 너무 많은 비용이 든다는 이유로 부결된 바 있다.

우익정당인 스위스인민당은 이번 투표에서도 기후법 도입 시 전기 요금이 오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난해 스위스 빙하가 기록적인 수준으로 녹아내리면서 탄소배출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마티아스 후스 취리히 스위스 공과대학 교수를 비롯한 전문가들이 영구동토층 해빙으로 산사태가 일어나는 등의 극적인 장면들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게시하며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