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서재원의 축덕축톡]먹는 재미도 잡는다…대세는 '美食'축구

'K리그 맛집' 서울이랜드

축구장 내 푸드트럭 최초로 입점

스테이크·야키소바 등 메뉴도 다양

콘서트·행사서 섭외 운영법 참고

주류 판매위해 편의점도 파격 유치

타 구단서 벤치마킹 문의 잇따라

축구 팬들이 목동운동장 트랙에 마련된 핫도그 푸드트럭을 이용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사진 제공=서울이랜드축구 팬들이 목동운동장 트랙에 마련된 핫도그 푸드트럭을 이용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사진 제공=서울이랜드




창단 때부터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스테이크 푸드트럭. 사진 제공=서울이랜드창단 때부터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스테이크 푸드트럭. 사진 제공=서울이랜드


축구 경기를 관람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주전부리다. 90분 동안 축구 경기만 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월드컵 때마다 치킨 프랜차이즈 평균 매출이 100%가량 증가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축구 경기장에서 ‘직관(직접 관람)’할 때도 먹거리는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과거에는 경기장 내에서 접할 수 있는 음식이 한정적이었다. 경기가 매일 열리지 않는 프로축구 특성상 경기장 내 식음 사업자 유치는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고 경기 날에만 임시로 열리는 매점에서는 컵라면과 과자·맥주 정도만 구입할 수 있었다.

프로축구 K리그2(2부) 서울이랜드도 2015년 창단 때부터 경기장 내 먹거리에 대한 고민을 했다. 우리나라 스포츠의 성지라고 할 수 있는 잠실올림픽주경기장을 홈경기장으로 사용한 만큼 팬들을 간식 욕구를 만족시키는 게 하나의 미션이었다. 가족 단위의 팬들을 유치하기 위해서도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먹거리가 필요했다.



그렇게 탄생하게 된 것이 K리그 최초 경기장 내 푸드트럭이다. 서울이랜드는 주경기장의 트랙에 푸드트럭을 입점시켜 팬들에게 또 하나의 즐거움을 제공했다. 서울이랜드 관계자는 “경기장 내 F&B(식음) 사업자 유치에 어려움이 있어 고민하고 있었다”며 “창단을 준비하던 시기에 주경기장 내 콘서트 및 행사 때 푸드트럭을 섭외해 운영하는 것을 보고 해답을 찾았다”고 했다.

관련기사



서울이랜드는 잠실올림픽주경기장의 리모델링 문제로 지난해부터 ‘제2의 레울파크’로 불리는 목동운동장에서 홈경기를 진행하고 있는데 목동에서도 푸드트럭을 그대로 운영하고 있다. 청소년과 청년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 F&B 시장 발굴과 창업 교육을 제공하는 소셜 벤처 기업인 청청브릿지에서 대행하며 매 경기 4대의 푸드트럭이 운영된다. 고정 메뉴는 창단 시절부터 유명했던 스테이크, 어린이 팬들이 좋아하는 쌀 핫도그와 닭강정 등이며 야키소바·칠리새우·추로스·다코야키 등도 즐길 수 있다.

올해 들어 홈경기 평균 관중이 약 3000명으로 전년 대비 2.5배 증가하면서 자연스레 푸드트럭 매출도 상승했다. 이 관계자는 “4월 말부터 목동 인근 초등학생 및 가족 단위 팬들이 증가하면서 푸트트럭 매출도 평균 90% 이상 상승했다”며 “푸드트럭 업체 대표와 지속적으로 소통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목동종합운동장 내 입점한 CU 목동레울파크1호점. 사진 제공=서울이랜드목동종합운동장 내 입점한 CU 목동레울파크1호점. 사진 제공=서울이랜드


서울이랜드는 푸드트럭 외에도 경기장 내 편의점을 유치해 운영하고 있다. 전대 수수료 및 운영 중에 발생하는 기타 비용을 모두 구단이 부담한다는 파격 제안을 통해 CU 지점 2곳을 유치했다. 대신 지점명을 ‘목동레울파크 1·2호점’으로 등록해 오픈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 이 관계자는 “푸드트럭은 법의 규제로 주류 판매가 안 된다. 맥주 등 주류 구매를 원하는 팬들을 위해 경기장 운영권이 있는 서울시 체육시설관리소를 어렵게 설득해 편의점 입점을 성사시켰다”고 했다.

먹거리부터 팬 프렌들리를 지향하는 사무국의 오랜 노력 끝에 서울이랜드는 K리그를 대표하는 대표 맛집으로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최초로 시도한 경기장 내 푸드트럭은 수원FC와 부천FC 등 트랙이 있는 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타 구단의 벤치마킹 모델이 된 지 오래다. 편의점 유치 사례에 대해서도 문의가 밀려들고 있다. K리그 관계자는 “서울이랜드의 푸드트럭과 편의점 유치는 국내 프로축구 식음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했다.


서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