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금융과 기업이 가상자산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기술·제도적 기반(인프라)을 우선적으로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김병희 신한은행 디지털전략부 부부장은 28일 서울 여의도동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금융산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가상자산 혁신 세미나’에서 진행된 토론에서 은행이 예금을 담보로 발행하는 ‘예금 토큰(Deposit Token)’을 발행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는 한국경영정보학회 디지털자산연구회와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 서울경제신문, 디센터가 공동 주최했다.
김 부부장은 시장의 성장 동력으로 ‘유동성’을 꼽으며 은행이 디포짓 토큰으로 가상자산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서 통화 공급을 늘리거나 가상자산의 환금성을 높여야 한다”며 “은행이 디포짓 토큰으로 유동성을 공급하도록 제도와 기술적 상호운용성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예금을 담보로 발행한 일종의 ‘디지털 수표’인 디포짓 토큰을 스테이블코인처럼 가상자산 교환의 매개체로 활용해 환금성을 높여 유동성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김 부부장은 “지금처럼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와 토큰증권을 법정화폐로 일일이 구매·환전하면 시장활성화나 효용성 측면에서 좋지 않다”며 “디포짓 토큰으로 이를 보완하도록 토큰증권·CBDC 개발 단계에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철영 한국예탁결제원 전무이사는 토큰증권이 기존의 증권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제도적 인프라를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 전무이사는 “토큰증권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존의 시장보다 효율적인 구조를 갖춰야 하는데 현재 토큰증권 분산장부의 구조에 대한 논의가 없는 상황”이라며 “하나의 공유 장부에 모든 거래내역을 공유해 토큰 증권 발행인이 전체 투자자 내역을 일괄적으로 파악하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분산장부는 전자등록계좌부가 아닌 주주명부와 사채원부 등의 효력을 가져야 한다”며 “법정 장부를 일원화하고 중개기관의 사무처리를 생략해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창득 LG CNS 웹3 사업추진단장은 기업이 가상자산 지갑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갑을 통해 이용자가 가상자산 시장에 쉽게 진입하기 위한 접근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윤 단장은 “가상자산 시장 진입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지갑”이라며 “지갑은 계좌가 없는 ‘언뱅커’를 고객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요인”이라고 전했다. 그는 “지갑을 활용하면 은행계좌로 관리하지 못하는 가상자산의 보관·이체가 가능하다”며 “기존의 계좌를 지갑으로 바꿔 고객이 웹3와 가상자산에 쉽게 접근하도록 통로를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