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의 대출 원리금 연체율이 치솟아 건전성 관리에 적신호가 켜졌다. 새마을금고의 평균 연체율이 지난해 말 3.59%에서 6월 하순 잠정 집계에서 6.40%까지 올랐다. 지난해 말 대비 2.81%포인트나 급증한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연체율 상위 100개 금고에 대해 특별합동감사를 벌이기로 했고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부실 금고에 대한 구조 조정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부동산 건설 경기 냉각으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이 부실해지면서 금고가 직격탄을 맞는 모양새다. 중앙회 측은 “지방에서 벌어지는 일시적 현상이라 하반기에 진정될 것”이라면서 파장이 확산되는 것을 막으려 했다. 하지만 금고의 수신 잔액이 2월 265조 원에서 4월 258조 원으로 2개월 새 7조 원가량 줄어든 점은 우려되는 대목이다. 연체율이 두 자릿수를 넘는 곳이 상당수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저축은행의 평균 연체율도 1분기에 5.07%를 기록해 2018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아졌다. 금리가 오르는데 경기마저 둔화돼 자영업자와 저소득 근로자들의 상환 능력이 크게 떨어진 영향이 크다. 자영업자의 전체 금융사 대출 연체율은 1분기에 0.35%포인트나 급등하며 1%를 기록했다. 2015년 1분기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자영업 대출자 10명 중 7명이 3개 이상의 금융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 채무자다. 게다가 상환 유예 시한이 9월 말로 다가와 연체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물가를 잡기 위해 고금리를 상당 기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금융 당국은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의 약한 고리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선제적으로 방파제를 쌓아나가야 한다. 금융회사가 자본금을 확충하고 대출 부실에 대비해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도록 건전성을 관리해야 한다. 부실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인수합병을 지원할 수 있게 미리 대비해야 한다. 세밀한 감독과 옥석 가리기로 정상화가 어려운 금융회사는 퇴출시키되 회생 가능성이 높은 곳에는 구조 조정과 지원 등을 병행해야 한다. 그래야 취약 부문의 일부 부실이 금융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