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40년전엔 '미국차 1대 값에 엑셀 2대'…이젠 줄서야 '제네시스' 산다

[매출1000조 빅5 NOW] <3> 현대차그룹-점점 더 강해지는 현대차

싸구려 이미지 바꾼 품질경영

1999년 美서 '10년 보증' 승부수

JD파워 등 글로벌 평가기관 호평

제네시스로 고급차 시장 공략

디자인 등 인정받으며 성공적 안착

3분기 누적판매 100만대 넘을듯

현지 생산·전략형 상품 개발

국내외 총 870만대 생산능력 갖춰

실적·브랜드 영향력 강화 두토끼





현대차(005380)그룹이 2026년 920만 대를 판매하며 세계 1위 완성차 제조사에 등극한다.”



최근 삼성증권이 내놓은 전망이다. 글로벌 판매 3위 제조사인 현대차그룹이 3년 뒤면 도요타와 폭스바겐을 제치고 1위 자리를 꿰찰 것이라는 얘기다.

허무맹랑한 얘기로 보기는 어렵다.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판매 순위는 지난 20여 년간 꾸준히 상승해왔기 때문이다. 2000년 10위로 시작했던 현대차그룹은 계속해서 순위가 오르다 2010년 미국 포드를 제치고 처음으로 ‘톱5’에 진입했다. 이어 지난해에는 684만 대를 판매하며 3위에 안착했다. 반도체 수급난으로 다른 ‘톱5’ 완성차 그룹이 모두 판매 감소를 겪는 와중에도 현대차그룹은 플러스 성장을 이뤘다.

현대자동차가 1985년 엑셀을 미국에 수출하며 선보인 광고. ‘신차 1대 가격이면 엑셀 2대를 구매할 수 있다’는 문구를 사용했다. 사진 제공=현대차현대자동차가 1985년 엑셀을 미국에 수출하며 선보인 광고. ‘신차 1대 가격이면 엑셀 2대를 구매할 수 있다’는 문구를 사용했다. 사진 제공=현대차


①싸구려 이미지 바꿔놓은 품질 경영=업계에서는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톱티어(업계 최고) 제조사로 거듭나기 위해 축적해온 자산이 하나둘씩 빛을 발하며 그룹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그룹의 이미지를 바꿔놓은 품질 경영이 대표적이다. 1985년 소형 세단 엑셀을 앞세워 미국에 진출할 당시만 해도 현대차의 광고 문구는 ‘자동차 1대 가격이면 엑셀 2대를 살 수 있다’였다. 저렴한 가격을 판매 전략으로 내세운 것이다. 하지만 잦은 고장 탓에 ‘싸구려 자동차’라는 오명을 얻자 현대차는 1999년 ‘10년, 10만 마일 보증’이라는 파격적인 서비스로 승부수를 던졌다.

변화는 점차 나타났다. 현대차그룹은 2004년 미국 시장조사 기관 JD파워의 초기품질조사(IQS)에서 뉴 EF쏘나타로 중형차 부문 1위를 처음 차지한 것을 시작으로 글로벌 품질 평가 기관으로부터 호평을 받기 시작했다. 올해 JD파워의 내구품질조사(VDS)에서는 고급 브랜드를 포함한 전체 31개 브랜드 가운데 제네시스 2위, 기아(000270) 3위, 현대차가 8위를 차지해 모두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글로벌 16개 자동차 그룹사 중 가장 우수한 종합 성적을 거뒀다.

제네시스 GV80. 사진 제공=제네시스제네시스 GV80. 사진 제공=제네시스



②제네시스 출시로 고급차 시장 공략=고급 브랜드 제네시스의 출범은 그룹의 수준을 한 단계 올려놓았다. 현대차그룹은 2015년 11월 국산차 중 첫 고급 브랜드로 G90(EQ 900)을 출시하며 프리미엄 자동차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당시 정의선 현대차그룹 부회장이 초기 기획 단계부터 외부 인사 영입과 조직 개편까지 브랜드 출범 전 과정을 주도했다.

관련기사



고급화 전략은 적중했다. 국내는 물론이고 북미에서도 품질과 디자인 경쟁력을 인정받으며 제네시스는 고급차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지난해 제네시스는 미국에서만 5만 6410대가 팔리며 일본 닛산의 고급 브랜드 인피니티(4만 6619대)를 제치고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올해 3분기에는 제네시스의 글로벌 누적 판매량이 100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제품 가격이 비싼 만큼 제네시스의 흥행은 현대차그룹의 수익성 개선에도 혁혁한 공을 세우고 있다.

현대자동차 미국 앨라배마 생산 공장에서 직원이 완성차를 조립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차현대자동차 미국 앨라배마 생산 공장에서 직원이 완성차를 조립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차


③현지 생산·전략車로 글로벌 공략=글로벌 생산 체계를 갖추고 각 지역에 맞는 전략형 상품을 개발한 점 역시 현대차그룹의 성공을 뒷받침한 요인이다. 현지 수요에 따라 물량을 신속히 공급하며 생산 단가까지 낮추는 효과를 거둬서다. 현재 현대차그룹이 보유한 생산 네트워크는 아시아·유럽·북미·남미 등에 뻗어 있으며 국내외 공장의 총생산능력은 870만 대에 달한다. 현대차그룹은 여기에 연산 16만 대 규모의 인도 제너럴모터스(GM) 탈레가온 공장 인수를 추진 중이며 미국에는 매년 전기차 3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전용 공장도 건설하고 있다.

각 생산 거점에서 현지 소비자의 특성을 반영해 개발한 전략 차종은 현대차그룹의 판매 실적을 견인하는 동시에 브랜드 영향력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대차가 인도에서 생산하는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크레타는 2015년 출시 이후 지금까지 70만 대 넘게 팔리며 현지 국민차 반열에 올랐다. 더운 날씨를 고려해 뒷좌석 에어컨을 기본 사양으로 적용하고 대가족이 많은 특성을 반영해 실내 공간을 넓히는 등 제품을 현지화한 결과다.

경기 평택시 포승읍 기아 평택항 수출 전용 부두에서 EV6 등 수출용 차량이 선적을 기다리고 있다. 평택=오승현 기자경기 평택시 포승읍 기아 평택항 수출 전용 부두에서 EV6 등 수출용 차량이 선적을 기다리고 있다. 평택=오승현 기자


현대차그룹은 외형적 성장뿐 아니라 수익성 확보에도 성공하며 내실을 다져나가고 있다. 특히 올해 1분기 도요타와 GM보다 더 많은 영업이익을 거둔 현대차·기아는 2분기에도 실적 고공 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현대차·기아는 올 1~3월에 6조 4600억 원의 누적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도요타(약 5조 원), GM(약 3조 원)의 실적을 제친 바 있다.

증권가 평균 전망치(컨센서스)에 따르면 현대차는 2분기에도 전년 대비 21% 증가한 3조 6089억 원의 영업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기아의 영업익 역시 33% 늘어난 2조 9801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양 사의 2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6조 6000억 원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된다. 실적이 추정치에 부합하면 양 사는 각각 국내 상장사 영업이익 1·2위 기업에 오르게 된다.


유창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