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원형탈모 ‘주범 세포’ 찾았다…KAIST·중앙대병원 최초 규명

네이처 이뮤놀로지 발표

특정 면역세포가 모낭세포 파괴

면역세포 억제 통한 치료법 제시

가상기억 T세포가 원형탈모를 일으키는 과정을 설명한 그림. 사진 제공=KAIST가상기억 T세포가 원형탈모를 일으키는 과정을 설명한 그림. 사진 제공=KAIST




국내 연구진이 원형탈모를 일으키는 몸속 면역세포를 찾아내 국제 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에 발표했다.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는 원형탈모의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치료 가능성을 한층 키웠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박수형 의과학대학원 교수, 신의철 의과학대학원 교수, 석준 중앙대병원 피부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원형탈모의 발전 기전을 발견하고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성과는 ‘네이처 이뮤놀로지’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원형탈모 환자의 피부 조직과 혈액, 원형탈모에 걸린 실험쥐의 피부와 림프절 분석을 통해 ‘가상기억 T세포’로부터 유래된 면역세포가 원형탈모의 핵심 원인이라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했다. 원형탈모는는 과잉된 면역 시스템에 의해 몸속의 다른 세포, 조직 등이 공격받는 자가면역질환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는 머리카락을 자라게 하는 모낭세포가 공격받는 것인데, 면역 시스템 중에서도 그 주범을 구체적으로 찾은 것이다.

가상기억 T세포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감염 등을 조절하거나 암세포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 세포가 모낭세포를 파괴해 원형탈모를 유발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 면역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 등의 기능을 억제하면 원형탈모 발생도 막을 수 있다는 것도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박 교수는 “가상기억 T 세포가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오히려 염증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최초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나 의학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항체 치료제를 신약 개발한다면 다양한 만성 염증질환의 발생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김윤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