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하이엔드 동박시장 1위 될 것"

기자 간담회서 비전 발표

2028년 점유율 30% 목표

2년내 수주잔액 20조 달성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가 2028년 전 세계 하이엔드 동박 시장 점유율 30%를 달성해 1위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김연섭(사진)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대표는 4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출범 기자 간담회에서 이 같은 사업 비전을 발표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2차전지 핵심 소재인 동박 생산 기업으로 롯데케미칼이 3월 자회사로 편입했다. 지난해 말 기준 동박 생산능력은 6만 톤으로 글로벌 4위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지금까지 체결한 계약을 고려하면 올해 수주 잔액 15조 원이 가능할 것이라며 2025년 수주 잔액 목표 금액을 20조 원으로 잡았다. 김 대표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성장이 동박 수요를 이끌 것”이라며 “동박 수요가 현재 연간 50만 톤에서 2030년에 223만 톤 수준까지 4배 이상으로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특히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하이엔드 동박 시장을 선점해 전 세계 1위 하이엔드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하이엔드 동박 시장은 2028년 전 세계 80만 톤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이 중 24만 톤, 30%의 점유율을 차지해 1위로 앞서가겠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2025년 이후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수요 증가, 북미 시장 4680(지름 46㎜, 길이 80㎜) 배터리 양산 본격화 등으로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범용 동박 대비 하이엔드 동박 수요가 많이 늘어날 것”이라며 “가장 뛰어난 하이엔드 동박 생산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집중 공략하겠다”고 말했다.

글로벌 거점도 확대해 생산능력을 2028년 24만 톤까지 키울 계획이다.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5·6공장을 증설 중이며 스페인을 유럽의 거점 지역을 확정했고 북미에서도 2~3개 지역을 후보로 놓고 검토하고 있다.

음극재를 비롯한 차세대 배터리 소재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자체 기술 개발과 선진 개발사 지분 투자를 통해 음극재 시장에 진입하고자 한다”며 “3세대 실리콘 복합 음극활물질 개발을 랩스케일로 연내 완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초격차 기술력과 국내외 주요 거점 지역 확대를 통해 글로벌 1위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며 “매년 매출도 20% 이상 지속 성장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