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식당서 김치 먹다 암 걸리겠네"…중국산 김치 90% '아스파탐 사용'

6월 한달 중국산 김치 2만 2632톤 수입

아스파탐, 유통과정서 무르는 성질 지연

대상·CJ제일제당 등은 매실액·설탕 사용

사진=이미지 투데이사진=이미지 투데이




지난 한 달간 국내로 수입된 중국산 김치 가운데 약 90%가 아스파탐을 원재료 중 하나로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4일 뉴시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공개된 수입 김치 원재료를 전수 조사한 결과 6월 1일부터 30일까지 수입된 김치 1737건 가운데 아스파탐이 들어간 김치는 1525건이었다고 보도했다. 이는 전체 수입 김치의 87.79%에 해당한다.



물량으로 따지면 수입된 중국산 김치는 2만2632톤이며, 가격으로는 1262만8000달러(약 164억 9848만원) 규모다.

관련기사



중국업체가 김치에 아스파탐을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수입 과정에서 김치가 무르거나 너무 빨리 익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에서 김치를 제조해 한국까지 수출하는데 설탕, 물엿 등으로 양념을 하면 김치가 쉽게 무를 수 있다.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200배더 더 단맛을 내면서도 긴 유통과정에서도 아삭함을 유지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국내에서 김치를 제조·판매하는 대상 종가집, CJ제일제당 비비고, 풀무원 등은 인공감미료 대신 매실농축액, 설탕 등을 사용한다.

한편 오는 14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아스파탐을 발암물질로 분류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주류, 식품업계가 아스파탐 퇴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아스파탐 퇴출 움직임은 중국산 김치에도 파장이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주류, 식음료 업계에서 아스파탐이 퇴출당하면 중국산 김치 역시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아스파탐 사용 주류, 식음료 리스트가 공유되고 있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