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박형준 "수산물 문제 없도록 챙기겠다"…"엑스포 역전극 시작"

민선 8기 출범 1주년 기자설명회 개최

“행정통합 추진 여부 결정, 여론조사 바람직 않아”

"굵직한 현안 새로운 전기 마련, 속도 높여" 자평





“시민 식탁에 오르는 수산물이 방사능 오염수로 인한 문제가 없도록 최선의 대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박형준(사진) 부산시장은 4일 시청에서 ‘민선 8기 출범 1주년 기자설명회’를 열고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계획과 관련해 "앞으로 더욱 세밀하게 체크해나갈 것인 만큼 안심하고 드셔도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부산시 입장에서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에 찬성 의견을 낸 적이 한 번도 없다”면서도 “다만 국제적인 통과 의뢰를 거쳐 방류가 이뤄질 때 정부 차원에서 어떻게 대처 하느냐가 더 중요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수입되는 수산물은 후쿠시마산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불안을 조성하는 것은 수산업과 자영업에 심대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보고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제소하는 것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도 설명했다.

관련기사



부산·경남 행정통합 추진과 관련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냈다. 박 시장은 “행정기구 추진이 안 됐다고 해서 광역공동체를 만드는 작업을 포기한 것은 절대 아니”라며 “여론조사 한두 번으로 결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박 시장은 오는 12일 박완수 경남도지사와 행정통합 추진 논의를 할 예정이다.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에 대해서는 역전극이 시작됐다며 얼마든지 해볼 수 있는 승부라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지난해 새 정부 국정과제로 선정된 이후 대한민국 정부와 기업, 부산시 등 ‘코리아 원팀’을 결성, 전방위적 유치 활동을 전개하면서 부산의 유치 가능성을 계속 높여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산의 굵직한 현안들도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며 속도를 높여가고 있다고 자평했다. 근거로는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꼽았다. 박람회 개최 이전인 2029년에 조기 개항하는 것으로 정부방침을 이끌어냈고 특별법 개정을 통해 조기 보상착수의 근거도 마련했다는 점에서다.

또 한국산업은행 이전도 국토부의 부산 이전기관 지정·고시가 이뤄지며 마지막 법 개정 절차만을 남겨두고 있다는 점, 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 구축 사업이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을 완료하며 본격 계획단계에 들어선 점, 부양울 광역철도 건설사업이 예비타당성 대상 사업에 선정된 점 등도 자평의 배경이다.

박 시장은 “부산이 글로벌 허브도시, 아시아 최고 행복도시로의 도약을 더 빨리 앞당겨갈 수 있도록 부산시정과 함께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