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붕어빵 4개 5000원, 말이 돼?"…명동 '바가지'에 관광객 '절레절레'

서울 명동의 노점에서 판매하는 군만두와 붕어빵. YTN 보도화면 캡처서울 명동의 노점에서 판매하는 군만두와 붕어빵. YTN 보도화면 캡처




서울 명동의 노점에서 파는 음식 가격이 터무니없이 비싸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한때 쇼핑의 메카로 불렸던 명동은 코로나19로 인해 상권이 침체됐으나 엔데믹(풍토병으로 전환) 선언 이후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는 등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 하지만 붕어빵 4개를 5000원에 파는 등 ‘바가지’ 상술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4일 업계 등에 따르면 명동 노점의 가격은 점포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일부 점포에서는 군만두 3개에 5000원, 붕어빵 4개에 5000원에 판매되고 있다. 닭꼬치도 5000원에 팔린다.



물가가 많이 올랐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일반 길거리 음식에 비해 비싼 편이다. 오징어구이는 1만2000원, 회오리 감자는 5000원으로 고속도로 휴게소보다 2000원씩 더 비싼 수준이다.

관련기사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들도 명동 물가가 다른 곳에 비해 비싸다고 느낀다. 한 프랑스 관광객은 “명동 길거리 음식은 비싸다. 경기 부천이나 다른 곳에선 똑같은 걸 더 저렴하게 살 수 있다”고 YTN에 말했다.

바가지 요금이 계속되면 외국인들 사이에서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편 명동 노점상은 ‘노점 실명제’에 따라 구청에 정식으로 도로점용 허가를 받아 운영한다. 1년에 내는 도로점용료는 노점상의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1년에 100만~150만원 정도라고 한다. 여기에 최근 원자잿값 등이 가파르게 올라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게 명동 상인들의 주장이다.

이런 가운데 관할 구청이 할 수 있는 건 없다. ‘거리 가게 운영 규정’에 따라 노점상을 관리해 가격 조정을 요구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구청 측은 “노점상 가격을 법적으로 강제할 수는 없다”며 “다만 관광 산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합리적인 판매가를 권고하고 있다”고 YTN에 밝혔다.


김유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