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발사에 실패해 서해에 추락한 군사용 정찰위성인 ‘만리경-1호’의 주요 부분이 우리 군에 의해 인양됐다. 북한의 우주발사체 및 위성기술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적 단서를 확보한 것이다. 한미는 해당 정찰위성 부품을 공동 조사한 결과 ‘만리경-1호’는 매우 조악한 수준으로, 군사적으로 전혀 쓸모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이에 따라 우주군사력을 과시해 한미를 압박하고 북한 내부에서 리더십을 세우려 했던 김정은 정권은 대내외 신뢰도에 치명타를 입게 됐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 우주발사체가 서해에 추락한 5월 31일 시작한 잔해물 탐색 및 인양 작전을 5일 종료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이번 작전을 통해 북한의 우주발사체와 위성체의 주요 부분을 인양해 한미 전문가가 면밀히 분석했다”면서 “정찰위성으로서의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다”고 평가했다. 군은 이같이 판단한 배경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인양한 ‘만리경-1호’나 추가로 건진 발사체 잔해의 모습도 공개하지 않았다. 이는 한국이 인양한 부품이 무엇이고 이를 한미가 어떻게 평가했는지 등 기술적인 사항이 유출될 경우 북한이 추후 이에 대비할 수 있는 빌미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군은 인양한 위성 부품을 구체적으로 확인해주고 있지는 않지만 위성체에 달린 카메라 등 광학 장비나 관련 부품, 광학카메라가 들어간 경통 등이 일부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이런 부품 등을 통해 위성의 정찰용 카메라의 해상도(분해능) 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찰위성으로 사용하려면 가로·세로 1m가 1개의 점으로 표시되는 것을 의미하는 ‘해상도 1m’급은 돼야 하는데 군이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다’고 평가한 것으로 미뤄볼 때 만리경-1호의 해상도는 이보다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12월 북한은 ‘위성 시험품’에서 촬영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용산 일대를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는데 당시 공개된 사진의 해상도는 20m 수준으로 일반 상업용 위성 성능에도 크게 못 미쳤다. 북한은 올 5월 31일 평안북도 동창리에서 만리경-1호를 탑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1형을 쏘아 올렸지만 이 발사체는 1단 분리 후 2단 점화에 실패해 전북 군산 어청도 서방 200여 ㎞ 해상에 추락했다.
군은 북한이 발사체를 쏜 지 약 1시간 30분 만에 낙하 해상에서 천리마-1형의 잔해로 추정되는 부유물을 발견했으며 지난달 15일 3단 로켓인 천리마-1형의 2단부를 인양했다. 군은 발사 순간부터 발사체를 추적했으며 추락하자 잔해물 낙하 구역을 설정하고 해군 함정, 항공기, 심해 잠수사 등을 투입해 36일간 탐색 및 인양 작전을 펼쳤다.
그 결과 만리경-1호 위성을 포함한 잔해물을 다수 수거했으며 한미 공동 조사단을 구성해 이를 분석해왔다. 합참은 “어려운 작전 환경에서도 잔해물 다수를 인양함으로써 우수한 작전 수행 능력을 보여줬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