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을 위해 약 87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던 서울 종로구 ‘창신·숭인’ 지역이 결국 전면 재개발을 통해 최고 28층, 2000가구의 대단지 아파트로 탈바꿈된다. 이 지역은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시범 ‘도시재생사업지’로 선정하고 벽화 그리기, 봉제역사관 건립 등 보존 중심의 도시재생을 추진했으나 주거 환경 개선 효과가 미미하다는 주민들의 불만이 큰 곳이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신속통합기획 방식의 재개발을 통해 구릉지 특화 주거단지를 마련하고 이 중 360가구를 기존 지역 주민들에게 임대할 계획이다.
5일 오 시장은 창신동 채석장 절개지에서 열린 ‘창신·숭인 신속통합기획 성과 보고회’에서 “창신·숭인동은 도심 한복판에 있음에도 화재가 났을 때 소방차 진입이 어려울 정도로 굉장히 소외되고 낙후된 지역으로 남아 있었다”며 “주민 분들이 총의를 모아 속도를 내주셨고 시도 서둘러 2000가구가 들어설 수 있는 기획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 중 360가구는 이 지역에 살고 계신 분들에게 공급할 예정”이라며 “소셜믹스를 적용해 어우러져서 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본지 7월 1일자 8면 참조
기획안에 따르면 815가구(토지 소유자 711가구)가 거주 중인 창신·숭인 구역은 구릉지에 특화된 2000가구 규모의 도심 아파트 단지로 거듭난다. 지형에 따라 청룡사 등 문화재 인근은 4~7층, 구릉지는 8~10층, 창신역 일대는 28층의 고층으로 계획됐다. 대상지 최대 높낮이가 70m에 달하는 만큼 입체 보행로를 조성하고 에스컬레이터·엘리베이터 등을 확충한다. 창신역 일대에는 공공시설이나 연도형 상가(도로를 따라 배치된 상가)가 들어서 지역 활성화를 유도한다. 구역 서쪽의 채석장과 청소 차량 차고지, 지봉골공원 등을 통합해 공원을 조성하고 공원 하부에는 자원순환센터를 짓는 등 저이용·방치 시설 재배치도 진행한다.
창신·숭인 구역은 총 10만 4853㎡ 규모로 한양도성과 낙산 언덕으로 둘러싸인 구릉 지형이다. 평균 경사도가 19%에 달할 정도로 가파르고 길 또한 좁아 소방차 등 비상 차량이 진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노후 건축물의 비율도 90%에 달했다. 이로 인해 2007년 뉴타운(재정비 촉진 사업)이 추진됐지만 2013년 구역 지정이 해제되고 2014년 박 전 시장의 역점 사업인 서울의 1호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됐다. 이후 총 868억 원을 들여 2015~2018년 도서관 건립, 노후 상하수도 교체, 봉제역사관 건립, 벽화 사업 등 재생 사업의 방점이 ‘보존’에 맞춰지면서 주택 공급 및 주거 환경 개선 효과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따라 시는 2021년 12월 주민 공모를 통해 창신·숭인 구역을 신통기획 1차 대상지로 선정했다. 기획안이 완료됨에 따라 시는 주민 동의서를 걷는 한편 구청장 입안을 별도로 진행해 정비계획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인접한 창신9·10구역이 신통기획 2차 공모지로 선정된 데 이어 창신12구역도 신통기획 추진준비위원회가 설립된 만큼 일대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신속통합기획은 △소외지역 정비 △생활 편의 공간 조성 △수변 감성 도시 △디자인 혁신을 골자로 추진되는 서울시 정비 사업 지원 정책이다. 정비구역 지정에 필요한 시간을 통상 5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는 것이 목표로 시와 주민·전문가가 함께 기획안을 수립하고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와 건축·교통·환경 통합 심의를 거치는 방식이다. 시에 따르면 현재 82개소가 신통기획에 참여했으며 이 중 44개소(재건축 9개소·재개발 35개소)가 기획안을 완료했다. 시는 올해 말까지 75개소, 내년 6월까지 82개소에 대한 기획안 마련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서울에서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재개발 구역 지정이 단 한 건도 이뤄지지 못하는 등 사실상 재개발 사업이 ‘스톱’ 상태였다. 2015년 발표된 ‘2025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주거정비지수제가 포함되며 지정 요건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이에 시는 2021년 주거정비지수제 폐지 등 ‘재개발 6대 규제 완화책’과 35층 층수 제한 폐지를 골자로 한 ‘재건축 정상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같은 해 9월 신속통합기획을 도입했다.
신통기획안이 공식적인 정비계획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도계위 심의를 통과해야 한다. 현재 8개소가 정비구역 지정을 마쳤으며 시는 연내 22개소, 내년 12월까지 75개소에 대한 구역 지정 절차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오 시장은 “(기획안이 마련됐더라도) 조합을 결성하고 조합에서 어떻게 밑그림을 그려 시에 요청하느냐에 따라 사업 속도가 달라진다”며 “빠른 속도로 총의를 모아서 정비계획안을 내주시면 시도 속도를 내 주거지를 안전하고 쾌적한 곳으로 바꾸겠다”고 말했다.
*‘집슐랭 연재’ 구독을 하시면 부동산 시장 및 재테크와 관련한 유익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생하게 전달받으실 수 있습니다.
/한민구 기자 1min9@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