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어디 있는지도 모르고 가까워도 걷기 힘들고"…제 역할 잃은 '무더위 쉼터'

전국 6만 서울 4000곳 있지만 이용 저조…"주거 개선 병행해야"

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골목에서 주민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골목에서 주민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올여름 폭염에 대비해 냉방 시설을 갖춘 주민센터·경로당·은행 등을 ‘무더위 쉼터’로 지정한 가운데 일각에서 이 쉼터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가 4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지난 3일 낮 12시 30분 경 서울 용산구 동자봉 쪽방촌 주민 10여 명은 걸어서 1분 거리인 ‘무더위 쉼터’에 가지 않고 자신이 사는 곳 바로 앞 길가에서 더위와 사투를 벌였다.

이곳 주민 김은곤(87)씨는 왜 무더위 쉼터에 가지 않느냐는 질문에 "어디 있는지 알지도 못하고 알아도 다리가 아파 가지 못한다"고 매체에 전했다.

무릎이 성치 않아 거동이 불편하다는 김씨는 "하루 종일 선풍기를 쐬다가 너무 더워서 밖으로 나왔다"며 "집 앞까지도 간신히 나왔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거동이 불편하지 않더라도 무더위 쉼터 이용 자체를 꺼리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동자동 쪽방촌 주민 박모(48)씨는 "무더위 쉼터가 운영되는 걸 알고는 있지만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씨는 "옆에서 일하는데 나는 거기서 에어컨 바람 쐬고 앉아있으면 마음이 불편하지 않겠나. 옆에 가면 냄새도 날 것 같고…"라고 했다.



이어 "그냥 밖에 나와 얼음물을 마시거나 선풍기를 틀어놓는데 뜨거운 바람만 나오니 더위를 피하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에 따르면 전국에 지정된 무더위 쉼터는 6만여곳이다. 서울에는 4106곳이 무더위 쉼터로 지정돼있다. 그러나 일부 노인들은 무더위 쉼터가 가까운 거리에 있더라도 이곳에 갈 형편이 되지 않아 이용이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연합뉴스 취재에 따르면 실제 이날 오후 2시 30분께 무더위 쉼터로 운영되는 서울역 쪽방 상담소에는 노인이 아닌 관계자들만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상담소 관계자는 "쪽방촌 주민분들이 별로 안 오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특히 날이 더우면 오기가 힘들어서인지 더 사람이 오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취약계층이 신체적·심리적 이유로 무더위 쉼터를 편리하게 이용하기 어려운 만큼 근본적인 대책을 병행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김승섭 서울대 보건대학원교수는 "신체 이동에 어려움이 있는 분들은 대체로 빈곤을 겪거나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등 다양한 위험이 중첩된 상황에 놓인 경우가 많다"며 "(더위를 해소할) 여러 자원으로부터 멀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최혜지 서울여대 사회학복지학과 교수도 "무더위 쉼터 대부분이 노인복지관 등 기존 시설을 개방해 사용하는데 기존 이용자들이 있기 때문에 더위를 피하기 위해 찾아간 이들이 심리적으로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무더위 쉼터뿐 아니라 정부가 전기 또는 가스 요금 일부를 직접 보조하는 '에너지 바우처' 제도 역시 쪽방촌 주민 등 취약계층에는 근본적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쪽방촌의 경우 선풍기를 아무리 틀어도 시원해지지 않는다"며 "이처럼 물리적 주거 조건 자체가 굉장히 열악한 경우에는 최소 주거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환경 자체를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차민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