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K뷰티 영업기밀' 대놓고 달라는 中

◆화장품 허가·등록 때 '원료 세부정보'까지 요구

원료 명칭·배합비율 등 보고해야

도넘는 규제에 줄줄이 현지 철수






코로나19 엔데믹을 맞아 반등을 기대했던 화장품 업계가 중국 정부의 규제 강화 조치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 시장을 겨냥해 만들었던 제품의 출시를 취소하는 것은 물론 일부 기업들은 영업 기밀 유출을 우려해 현지 제조 라인을 전면 철수시키고 있다.

관련기사



1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해외 기업에 화장품 제조 원료의 세부 정보까지 공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앞서 중국은 2020년 6월 화장품 감독 관리를 강화하고 화장품 품질 안전 확보 등을 위해 ‘화장품감독관리조례(국무원령 제727호)’를 전면 개정한 바 있다. 이후에도 순차적으로 개정안을 시행하며 자국 내 화장품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한국 화장품 업계의 가장 큰 압박감은 중국에서 화장품 허가를 받거나 등록하기 위해 원료 처방 정보, 즉 화장품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을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이 2021년 3월 발표한 화장품 허가·등록 자료 관리 규정에 따르면 화장품에 사용한 원료의 순번을 비롯해 원료 명칭, 백분율 함량, 사용 목적 등의 내용을 포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 원료에도 다양한 성분이 들어가는데 해당 규정은 이를 어떻게 배합했는지 다 공개하라는 격”이라고 울분을 토했다. 이어 “해당 정보만 가지면 똑같은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수준”이라며 “중국 정부에서 기업의 영업 비밀을 보고하라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강조했다. 내년 5월에는 제품에 대한 안전성 평가 보고서 제출 규제도 강화될 예정이라 업체들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중국의 화장품 규제 강화로 사업을 축소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중국에 제품을 판매하는 중소 뷰티 브랜드 A사는 원료 인증 비용 부담 때문에 중국 내 등록된 제품군의 60%가량을 최근 정리했다. 품목과 효능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제품 1개당 원료 정보를 등록하는 데 최소 300만 원이 들기 때문이다. 화장품 제조 업계에서 상위권으로 분류되는 B 기업도 중국 내 제조 라인을 대부분 정리했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 내에서 3곳으로 나눠 제조하고 있지만 올해 하반기까지 1곳만 남기고 접을 예정”이라며 “규제가 심한 중국 대신 동남아 등으로 시장을 다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정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