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가 여야 간 정쟁의 도구로 쓰이면서 계속해 불안감을 키우고 있어 걱정입니다. 본격적인 고등어 어획 시기인 9~10월에는 하루에 9억 원 정도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한창은 대형선망수산업협동조합 상무는 11일 부산공동어시장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오염 물질이 아무런 여과 없이 바다로 흘러 들어간 사실이 드러난 2013년 당시, 수산물 소비량이 대폭 줄어들면서 위판 어가가 30%나 폭락했다”며 “근거 없는 허위·과장 정보에 따른 괴담으로 오염수 방류 이후에는 국내 수산물 전체 시장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달 6일 부산 서구 공동어시장에서 2개월간의 휴어기를 끝내고 첫 출항한 대형선망수협 고등어 조업 선박들이 수산물의 안전성을 알리고 소비를 촉진하는 현수막을 내건 이유다.
한 상무는 “대형선망어선이 국내 고등어의 80% 이상을 잡는 만큼 성어기에 접어들면 3만 원 정도 하는 상자가 하루 10만 개나 부산공동어시장에서 거래된다”며 “자칫 올여름으로 계획된 일본 정부의 오염수 해양 방류 시기와 성어기가 겹치게 되면 피해액은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일본 오염수가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평가서가 유해 논란과 괴담 등을 해소하기는커녕 불안감과 공포심을 조장하는 여야 정쟁의 수단이 되면서 향후 소비 위축이 거의 확실하다는 게 수산 업계의 분위기다. 이는 단순히 어가 하락의 문제가 아니라는 게 한 상무의 의견이다. 한 상무는 “문제는 근거 없는 불안감 조성을 통해 유발된 수산 업계와 후방 산업의 경제 비용 손실을 누가 떠안느냐는 점”이라며 “정부는 이런 점을 고려해 실질적인 피해 대책 방안을 마련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부산시가 올해 5월 발표한 ‘2022년 부산해양산업조사 결과’를 보면 마을어업과 양식업 등 양식어업권을 제외한 수산업 관련 사업체 수는 6949개로 전체 해양 산업의 23.3%를 차지했다. 이 중 수산물 유통 및 판매 업체는 5805개로 집계됐다. 종사자 수는 2만 5827명, 매출액은 13조 3411억 원에 달했다.
현재 수산 업계는 안전한 수산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해양수산부와 위판 전에 수산물 안전성 검사를 진행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다. 부산공동어시장의 경우 저녁 10시까지 선박들이 입항하면 품질검사원과 수협 측에서 협의를 통해 해역별 어종 방사능 검사를 한 후 새벽 3~4시에 결과를 통보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이다.
한 상무는 “아무런 이상이 없다는 검사 결과가 나오면 오전 6시 정상적인 경매를 통해 전국으로 유통시킬 계획”이라며 “방사능과 관련된 정부기관의 증명서를 보고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산물이력제 활성화도 주장했다. 소비자들은 상품에 부착된 QR코드를 통해 방사능 증명서를 비롯해 생산자, 생산 해역 및 시기, 유통·가공 업체 등의 이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자는 의미다.
한 상무는 “오염수 해양 방류는 기본적으로 반대한다”면서도 “여야가 소모성 싸움을 하는 대신 수산인들의 생존권을 생각해 조속히 수산물 안전 검증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려 수산물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는 과학적인 자료 마련에 머리를 맞댔으면 한다”고 덧붙였다.